실시간 뉴스



"AI 반도체 수요 급증…韓 파운드리에 기회 될 수도"


산업연구원 '반도체 글로벌 지형 변화 전망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 발간
"중국 맹추격·미국 정책 불확실성은 '실존적 위협'"
"토지·전력·용수 등 인프라 적기 공급 시급한 상황"

[아이뉴스24 설재윤 기자] 인공지능(AI)·데이터센터 반도체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파운드리(위탁생산)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의 창이 열렸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그러나 중국의 맹렬한 추격과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이 한국 반도체 산업에 '전면적 실존적 위협'이 되고 있다는 분석도 동시에 나왔다.

향후 몇년이 한국 반도체 산업엔 중대 기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짧은 기간 동안 열릴 수도 있는 기회의 창을 잘 잡으려면 반도체특별법 통과, 토지·전력·용수 등 인프라 적시 공급 등이 시급하다도 제안이 덧붙여졌다.

SK하이닉스 팹 내부.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팹 내부. [사진=SK하이닉스]

산업연구원은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반도체 글로벌 지형 변화 전망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데이터센터 반도체 시장 규모가 700조원에서 3000조원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치를 제시하면서 TSMC의 미세공정 수요가 향후 급증할 시장 수요를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TSMC 5/4나노 매출액과 웨이퍼 단가 추정치로 개선해볼 때, 현재 빅테크·팹리스 주요 고객사 물량 공급이 어려운 상황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한국이 TSMC 대신 일부 수요를 수주할 여지가 열릴 수 있다는 것이다.

경희권 연구위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장기간 빅파마 발주 가뭄 상황을 버티자 코로나19 사태 당시 백신 품귀로 동북아의 핵심 공급 파트너로 부상한 것처럼 오랜 시간 수주의 구조적 불리함 속에 고군분투해 왔던 우리 반도체 위탁개발생산(파운드리)에 짧지만 강력한 기회의 창이 열린 상황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레거시 메모리와 파운드리 분야에서 중국의 추격을 언급하며 한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전면적 실존적 위협'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중국의 낸드플레시 제조사 양쯔메모리(YMTC)는 2021년 2.7%였던 세계 시장 점유율을 지난해 9%까지 끌어올렸다. 중국 파운드리 기업 SMIC는 최근 매출 대비 시설투자액 비율이 98%에 이를 정도로 공격적인 투자를 단행하고 있다. 국내 기업과의 기술 격차 축소를 위해 속도를 높이고 있는 것이다.

이준 선임연구위원은 "과거 미국·일본·대만과 우리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 메모리·파운드리 기업들의 추격 속도를 상정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며 "상식을 뛰어넘는 비용 구조와 자원 투입으로 기술격차 축소 기간은 물론 시장 내 물량 투입 사이클이 과거 주요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라질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지원법(CHIPS Act)도 한국 반도체 기업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일 '트럼프 감세법'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인텔 등 연구개발비를 1년에 20조원 이상 지출하는 미국 내 반도체 기업들은 국내·적격 R&D 지출의 100%를 즉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시설투자 비용 100% 역시 당해 과세연도 즉시 비용 처리가 가능해졌으며, 향후 5년간은 신규 제조 시설 건물과 공장 투자액까지 100% 비용 처리될 예정이다.

산업연구원은 주요국들이 반도체 살리기에 총력 지원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도 세금 감면, 인프라 공급 체계 마련 등 정책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경 연구위원은 "초과 수요로 인한 기회의 창은 길지 않다"며 "적기 공급 역량 확충을 위한 반도체특별법 합의안 도출과 통과, 그리고 토지·전력·용수 등 인프라 적시 공급 체계 확립이 매우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국가기간전력망확충특별법을 적극 활용하고, 새 정부의 AI 정책자금 역시 우리 인공지능 반도체와 양산 주력 기업에 조달 정책 형태로 투입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고 전했다.

/설재윤 기자(jyseol@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AI 반도체 수요 급증…韓 파운드리에 기회 될 수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