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일본처럼 필수약 민관협력 공급망 시급" [현장]


국회 보건복지위 '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방안 토론회' 지적
"팬데믹 같은 위기 발생 때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어야"

[아이뉴스24 정승필 기자] "일본과 오스트리아 정부의 바이오산업 공동협력 성공 사례처럼 우리도 필수의약품, 원료의약품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정책적 매커니즘을 도입해야 한다."

박완갑 종근당바이오 대표가 1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방안 토론회'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이 자리에는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보건위) 소속 송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을 비롯해 제약업계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박완갑 종근당바이오 대표가 10일 국회에서 열린 '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방안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정승필 기자]
박완갑 종근당바이오 대표가 10일 국회에서 열린 '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방안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정승필 기자]

토론회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가 필수의약품 등 글로벌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심화됨에 따라, 안정적인 공급과 원료의약품 자급률 제고 방안이 주요 의제로 논의됐다.

국가 필수의약품은 생산량이 적거나 비용이 높아 공급이 어려운 품목으로, 치료 필수성은 높지만 생산 유인이 낮아 국가 관리가 필요한 의약품을 말한다. 2016년 109개 품목으로 시작해 올해 기준 473개 품목으로 확대됐다. 현재 절반에 가까운 품목이 국내에 원활히 공급되지 못해 환자 치료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항감염제, 항종양제, 신경계 치료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보건복지위원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의약품 자급도는 완제의약품 71.6%, 원료의약품 25.6%, 백신은 20% 수준에 불과하다. 특히 원료의약품의 경우 전체 수입액 약 3조349억원 중 중국이 35%, 인도가 15.2%를 차지해 특정 국가 의존도가 높은 실정이다.

특히 2020년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이후, 한국이 국가 필수의약품은 물론 원료의약품 제조까지 상당 부분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는 한계가 드러났다. 이는 단순한 물류 문제가 아니라 국가 보건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구조적 문제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박 대표는 이날 "의약품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료의 국내 등록 현황을 보면, 전체 8240건 중 국산은 15%에 불과하고, 중국과 인도산이 59%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며 "여기서 필수의약품으로 분류되는 항생제로 좁혀보면 국산 원료는 12%, 중국 인도산은 68%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항생제 시장은 세파계와 페니실린계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항생제의 원료는 국산화가 미흡해,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대체 수급이 어려운 구조적 취약성이 존재한다는 설명이다.

박완갑 종근당바이오 대표가 10일 국회에서 열린 '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방안 토론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정승필 기자]
서영석 더불어민주당 의원,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 박완갑 종근당바이오 대표를 비롯한 제약업계 주요 관계자들이 '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방안 토론회'에 참석했다. [사진=정승필 기자]

박 대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와 제약업계가 필수의약품과 원료의약품 생산 거점 육성에 협력해야 한다며, 국가 안보 차원의 의약품 수급 불안에 대응한 일본과 오스트리아의 사례를 근거로 제시했다.

그는 "일본 후생성은 2018년 제약사 메이지세이카와 시오노기가 각각 추진 중이던 항생제 원료의약품 생산 프로젝트에 총 550억 엔(약 5200억원)의 설비 투자를 지원했다"며 "오스트리아 역시 대규모 보조금 지원 정책을 통해 위기의 원인이었던 항생제 원료 생산망을 복원했다. 우리 정부도 이들 국가처럼 필수의약품과 원료의약품 생산 클러스터 구축을 위해 투자 보조금과 수요 확보 등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어 "다국간 공급망 협력 체계를 구축해 위기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며 "국산 원료의약품 수요를 촉진하는 정책 메커니즘을 도입해 민간사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정부와 제약업계가 공동으로 생산 거점을 육성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정승필 기자(pilihp@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일본처럼 필수약 민관협력 공급망 시급" [현장]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