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이창용 한은 총재 "정부와 시장에 구체 정보 전달 수단 모색"


소규모 개방경제 고려해 중앙은행과 정부의 정책 공조 중요

[아이뉴스24 홍지희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소규모 개방경제의 현실에 맞는 정책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중앙은행과 정부 정책 공조와 정책 수단을 조합할 때 시장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16일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는 아시아개발은행(ADB), 국제통화금융저널(JIMF)과 함께 하는 개발도상국·신흥국 통화정책 공동 콘퍼런스 기조연설에서 금리 인상기(2022년 하반기), 정책 기조 전환기(2024년 8월), 금리 인하기(2025년 1월) 당시 한은의 대응 경험과 정책적 교훈을 소개했다.

이 총재는 "2022년 한은이 분리 대응 조치했을 때 물가보다 금융·외환시장 안정에 더 큰 비중을 뒀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며 "소규모 개방경제라는 한국 시장의 현실을 고려하면서 시장에 구체 정보를 전달할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 시장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으면 정책 효과도 제약될 수 있기 때문에 정책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그 수단도 다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주요국과 달리 한국은행은 직접적 거시건전성 정책 수단과 미시감독 권한이 없어 정부 정책 강도나 방향에 이견이 있을 때 신속성·유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며 "중장기적으로 중앙은행의 거시건전성 역할을 강화하는 법적·제도적 장치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자국 구조와 당시 충격 특성에 맞는 최적의 정책 조합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준금리 운용과 더불어, 대내외 충격에 대응하고 금융·경제 구조 개선 노력도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홍지희 기자(hjhkky@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이창용 한은 총재 "정부와 시장에 구체 정보 전달 수단 모색"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