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서효빈 기자] KT와 LG유플러스 해킹 의혹과 관련해 정부가 이통사에 신고를 권유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해킹 조사가 속도를 내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민희 위원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과학기술벙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https://image.inews24.com/v1/f037eee1a976b9.jpg)
2일 열린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은 "두 통신사에 해킹 의혹이 제기됐는데도 민관합동조사단이 꾸려지지 못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과기정통부를 질타했다.
이에 대해 류제명 과기정통부 2차관은 "다크웹에 두 회사의 자료로 보이는 데이터가 올라온 사실을 확인해 신고를 권유했지만 통신사들이 자체 조사에서 침해 정황을 발견하지 못했다며 동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현재는 정부 권고에 따라 조사에 협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 위원장은 "LG유플러스는 민관합동조사에 준해 대응하겠다고 했지만, KT는 서버가 파기됐다는 얘기가 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류 차관은 "사실을 확인했으며, 고의 파기 여부는 추가 확인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최 위원장은 "정부 주도의 조사와 민관합동조사는 명확히 다르다"며 "사업자가 신고하지 않으면 조사가 불가능한 현행 제도를 개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현재 KT와 LG유플러스 의혹과 관련해 현장 점검과 자료에 대한 정밀 포렌식을 진행 중이며, 실제 침해 사고가 드러날 경우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서효빈 기자(x40805@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