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신수정 기자] 금융위원회가 미국의 관세 조치로 피해가 우려되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총 267조원 규모 정책·민간금융 지원에 나선다.
3일 금융위에 따르면 정책 금융기관은 내년까지 총 172조1000억원을 공급한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개최한 미국 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에서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품목과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금융업계의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사진=금융위원회]](https://image.inews24.com/v1/5abc5e5e3933eb.jpg)
올해 이미 63조원이 집행된 가운데, 추가 지원은 경영 애로 해소에 36조3000억원, 수출시장 다변화에 33조3000억원, 산업 경쟁력 강화에 91조5000억원, 사업 재편 지원에 11조원이 집행될 예정이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위기 대응 지원 특별프로그램'을 가동해 관세 피해기업에 긴급 운영자금을 제공하고 지원 대상을 수출 다변화 기업까지 확대한다.
산업은행은 대출 한도를 중소기업 30억원에서 300억원, 중견기업 50억원에서 500억원으로 늘리고, 적용 금리 인하 폭도 최대 0.5%포인트(p)까지 확대한다.
수출입은행은 신용도가 낮은 기업만이 아니라 전체 중소기업으로 지원을 넓히고, 최고 2.0%p의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5대 금융지주도 내년까지 총 95조원을 투입한다. 이 중 45조원가량이 이미 집행됐다. 주요 지원 분야는 금리 부담 경감, 공급망 안정 지원, 혁신 성장 자금, 대기업과의 상생 대출로 구성된다.
금융위와 캠코는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 조성에도 나선다.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반도체, 2차전지, 디스플레이 등 주력 산업의 구조조정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후순위 출자 비중을 기존 5%에서 10%로 확대해 민간 투자 유인을 강화한다. 펀드 자금의 60% 이상은 해당 산업에 집중 투입된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금융지원이 단순히 생존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피해기업이 근본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도록 든든한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수정 기자(soojungsi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