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9.24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51dd2e360f3a4d.jpg)
[아이뉴스24 문장원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가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 "미국의 비자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의미 있는 진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최근 관세 협상과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에 이어 김 총리까지 공개적으로 미국을 향한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김 총리는 25일 공개된 '블룸버그 통신'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프로젝트가 완전히 중단되거나 공식적으로 보류된 것은 아니지만, 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많은 근로자가 미국에 입국하거나 재입국하는 것은 매우 어려울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블룸버그는 미국 조지아주에서 이민 당국에 의해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이 구금된 뒤 석방된 사건을 언급하며 "족쇄를 찬 근로자들의 이미지가 널리 퍼져 대중의 분노를 불러일키고, 한국을 뒤흔들었다. 한국 대기업들의 막대한 미국 투자 계획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켰다"고 했다.
김 총리는 "안전에 대한 확고한 보장이 없는 상황에서,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두 사람과 가족 모두 미국에 다시 입국하는 것을 꺼리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한국 분위기를 전했다.
또 블룸버그는 지난 7월 한미 관세협정에서 합의된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도 이번 비자 문제가 불확실성을 드리우고 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미국과의 투자 약속은 한국 외환보유액의 70% 이상에 달한다"며 "미국과의 통화 스와프 협정이 없다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충격은 심각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 22일 공개된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이 요구하는 방식으로 3500억 달러를 인출해 전액 현금으로 투자한다면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 때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후 김 총리의 발언이 '투자를 유보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며 논란이 일자 국무총리실은 해명자료를 내고 "현재 조지아주에서 진행 중인 투자와 관련된 것"이라며 "한미 간 논의되고 있는 3500억 달러 투자와는 무관한 내용"이라고 했다.
/문장원 기자(moon3346@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