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최란 기자]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조선·해운 분야로 확산하면서 단기적인 충격은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국내 조선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미국과 중국이 해운·조선업 분야에서 갈등을 빚고 있다. 사진은 챗지피티로 생성한 이미지. [사진=챗지피티]](https://image.inews24.com/v1/8027e84aab443f.jpg)
15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전날부터 중국 선사가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선박은 톤당 50달러(약 7만1000원)의 입항 수수료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입항 수수료는 2028년에는 톤당 140달러까지 인상될 예정이다.
중국에서 건조된 선박도 톤당 18달러의 수수료를 내야 한다. 또 수수료를 점차 높여 2028년에는 톤당 33달러의 수수료를 매긴다는 계획이다.
이에 맞서 중국은 같은 날부터 미국 관련 선박에 순 톤당 400위안(약 56달러)의 항만 수수료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미국 국적 및 미국 건조 선박뿐 아니라, 미국 개인·기업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25% 이상 지분(의결권·이사회 참여 포함)을 보유한 선사까지 포함됐다.
중국은 2028년까지 단계적으로 세율을 올려 순 톤당 1120위안(약 158달러)까지 인상한다는 계획이다.
이은창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같은 상황에 대해 "미국은 전 세계 수출입 물동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세계 선박의 상당수가 미국 항만을 오가고 있다"며 "중국산 선박으로 미국 시장에 진입하기 부담스러워진다면 그 시장은 자연스럽게 우리나라 조선사의 몫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중 갈등이 진영화로 이어질 경우 한국 조선업계에 수주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그는 "미국과 중국으로 시장이 나뉜다면 미국 우방국인 한국에 상당한 물량이 올 수 있을 것"이라며 "미국 진영에 속한 해운사들은 중국 조선사에 발주하기 어려워질 것이고 그렇다면 시장이 별도로 움직이며 한국 조선사에 기회가 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국내 조선업이 단기간에 중국의 수주량을 따라잡기는 쉽지 않다.
이 연구위원은 "한국이 중국과의 격차를 줄이려면 중국만큼 생산능력(캐파)을 늘리고 그만큼 수주를 따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은 국영 조선사를 기반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했고 저임금 인력을 거의 무제한으로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라며 "반면 한국은 인력 확보에 한계가 있고 중국이 국가 지원을 받으며 저가 수주 경쟁을 펼치는 상황에서 공정하게 경쟁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가 생산능력과 인력을 확대하려면 그만큼 수익이 뒷받침돼야 하는데 중국과의 가격 경쟁에서 이를 달성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최란 기자(ra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