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구서윤 기자] 우리나라의 중간재 수출입 비중이 주요 7개국(G7)보다 높아 글로벌 무역 분쟁에 더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5년간 수출국은 다양해졌지만,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품목에 집중되면서 일부 편중 현상이 뚜렷해졌다고 분석했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지난해 한국 수출·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7.6%, 50.5%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영국(수출 57.1%·수입 45.7%), 미국(53.6%·41.6%), 일본(53.5%·41.6%), 독일(48.5%·48.9%) 등 G7 회원국보다 높은 수준이다.
경총은 "우리나라가 소재·부품을 수입해 반도체·이차전지·석유제품과 같은 중간재로 가공해 수출하는 산업에 특화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수출 상위 3개 품목은 메모리(720억달러), 프로세서·컨트롤러(359억달러), 석유제품(347억달러) 등으로 모두 중간재다.
반면 G7 국가들은 자동차(독일·일본), 항공기(프랑스), 의약품(독일·이탈리아·프랑스) 등 최종재나 석유(미국·캐나다)와 같은 1차 산품을 주력으로 수출한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높고, 최종재보다 중간재 교역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분석한다"며 "다른 국가의 핵심 소재·부품 수출 통제나 제3국 간 무역 분쟁 발생 시 주요 선진국에 비해 생산 차질을 겪을 위험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의 중간재 교역은 일부 국가와 품목에 집중한 편이기도 하다. 중간재 수출에선 중국 의존도는 줄고, 미국과 대만 등으로 수출 비중이 확대되며 수출국이 다변화하고 있다.
품목별 집중도는 더 높아졌다. 메모리와 프로세서, 컨트롤러 등 반도체 품목이 수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고, 수입 역시 반도체와 천연가스 등 일부 품목에 집중됐다. 결과적으로 '반도체 쏠림' 현상이 교역 전반에서 뚜렷해졌다고 분석했다.
하 본부장은 "최근 미국 관세 정책, 보호무역 확산, 미·중 갈등 요인에 따른 수출 감소, 국내 생산 차질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면서 "수출시장·수입선 다변화, 기술 역량·국내 생산 기반 강화를 위한 대책들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서윤 기자(yuni2514@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