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공공·대기업 중심의 데이터·AI 지원 구조를 넘어, 중소기업의 데이터 활용과 가치 확산을 위한 맞춤형 지원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연구과제중심제도(PBS) 폐지 이후 민간 자율성이 확대되는 만큼, 예산 집행에 대한 책임 주체를 명확히 규정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
바른과학기술실현을위한국민연합(과실연)은 27일 과총 회의실에서 정책기획위원회 주관으로 오픈플러스 좌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좌담회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국정기획위원회에서 도출된 과학기술분야 국정과제를 중심으로 미래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정종오 기자]](https://image.inews24.com/v1/9f66c1daff1d1f.jpg)
이외에도 과실연 측은 △단순한 예산 확대보다 분야별 선택과 집중을 반영한 국가 과학기술 포트폴리오 전략과 구체적 목표 설정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된 교육 체계와 해외 인재 활용 전략을 통해 지역 산업 생태계 강화 △정책 입안자와 과학계 간의 신의 회복을 통해 과학자들이 정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반 조성 △인구 감소 상황 속에서, 젊은 세대가 과학을 통해 미래를 꿈꿀 수 있는 환경과 참여 기회를 확대하는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과실연 관계자는 “새 정부 출범과 함께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과학기술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시점에서, 이번 좌담회가 향후 정책 논의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며 “앞으로도 과실연 정책기획위원회는 후속 오픈플러스 포럼을 통해 민간 씽크탱크로서 역할을 강화하고, 미래 과학기술 정책 발전을 위한 통찰과 협력의 장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