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6·27 대책 이후 전국 아파트 거래량이 절반 이상 줄었다. 다만 서울은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는 등 지역별 가격 흐름은 제각각 달랐다.
![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f1ae1bd6e2d1c3.jpg)
15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전국 거래량은 6월 5만3220건에서 7월 3만4304건, 8월 3만841건으로 크게 줄었다. 수도권도 6월 3만1132건에서 7월 1만4331건, 8월 1만2982건으로 감소했다.
6월 수도권 평균 거래가격 변동률은 1.17%로 전국 평균인 0.94% 대비 높았다. 다만 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7월과 8월에는 전국 변동률이 각각 0.66%, 0.67%로 둔화됐고, 수도권은 0.70%, 0.57%까지 변동폭이 축소됐다.
서울은 거래량 급감에도 불구하고 거래가격은 종전과 비교해 여전히 1% 내외 상승률을 유지하며 수도권 내에서 독자적인 강세를 이어갔다. 상승거래 비중동 6월 58%를 기록한 데 이어 7월·8월 각각 56%, 53%를 기록해 절반 이상이 상승거래였다.
25개 자치구 중 19곳이 8월에도 종전 거래보다 비싼 가격으로 절반 이상 거래됐다. 용산은 8월 거래가격이 종전 대비 4.28% 올랐고, 광진·중구·마포·강남·강동 등 도심 중심지역에서도 강세가 이어졌다.
서울과 달리 경기와 인천은 6월 50% 수준이던 상승 거래 비중이 7·8월 절반 아래로 떨어지면서 가격 변동폭도 크게 축소됐다. 일부 인기 지역을 제외하면 상승세가 약화된 모습이다.
![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74986757e89f88.jpg)
수도권 외 지방 집값 상승률은 같은 기간 0.62%, 0.63%, 0.74%로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6.27 대책 규제 범위에서 벗어난 지방이 거래량 감소 폭도 제한적이었고, 가격 흐름도 완만하게 유지된 것으로 풀이된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6·27 대책 이후 아파트 시장은 거래량 급감과 가격 양극화라는 두 가지 특징을 보였다"라며 "서울은 여전히 상승 거래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국지적 강세를 이어갔지만 경기·인천은 외곽 지역 중심으로 약세가 나타나면서 수도권 내부에서도 온도차가 뚜렷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이를 완화하기 위한 성격의 9·7 공급대책이 발표되면서 중장기적으로 공급 확대 기대 속 시장의 불안 심리를 낮추는 효과가 예상된다"면서도 "실제 체감 공급까지는 시간이 필요해 당장의 시장 반응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수현 기자(jwdo95@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