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삼성전자, 반도체 난제 해결·생산성 향상 AI 전략 논의


DS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과 비전'
DX는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로'
15~16일 온·오프 '삼성 AI 포럼 2025' 개최

[아이뉴스24 박지은 기자] 삼성전자가 반도체 난제 해결과 업무 생산성 향상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세계적인 석학들과 머리를 맞댄다.

삼성전자는 15~16일 온·오프라인에서 '삼성 AI 포럼 2025'를 개최한다.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 대표이사 부회장이 15일 경기 용인 '삼성전자 더 유니버스'에서 열린 '삼성 AI 포럼 2025'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 대표이사 부회장이 15일 경기 용인 '삼성전자 더 유니버스'에서 열린 '삼성 AI 포럼 2025'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삼성전자]

올해 9회째를 맞은 삼성 AI 포럼은 최신 AI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방향을 모색하는 기술 교류의 장이다.

이번 포럼에는 딥러닝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인 요슈아 벤지오 캐나다 몬트리올대 교수, 언어모델과 AI 에이전트 연구 권위자인 조셉 곤잘레스 UC버클리 교수 등 글로벌 AI 전문가들이 기조 강연에 나선다.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이 주관하는 1일차 포럼은 '반도체 산업의 버티컬 AI 전략과 비전'을 주제로 열린다.

버티컬 AI란 헬스케어, 법률, 금융, 제조·공정, 교육, 리테일·커머스 등 각 산업 분야에 특화된 AI를 뜻한다. 범용 AI보다 좁지만 깊은 지식과 기능을 제공해 특정 업계의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는 16일 디바이스경험(DX)부문이 진행하는 2일차 포럼은 '생성형 AI를 넘어, 에이전틱 AI로'를 주제로 열린다.

에이전틱 AI란 자율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뜻한다.

2일차 포럼의 기조 강연은 곤잘레스 교수를 필두로 △AI의 자율적 계획 수립과 의사결정 분야 전문가인 수바라오 캄밤파티 애리조나 주립대 교수 △확산 방식 언어모델 기술을 공개한 스타트업 인셉션의 공동창립자 겸 스탠퍼드대 교수 스테파노 에르몬 등이 오른다.

기술 세션에서는 삼성리서치 연구원들이 △카메라 색온도 자동조절 AI 기술 △지식증류를 활용한 효율적인 거대언어모델 학습기법과 적용 사례 △스마트폰·TV에 거대언어모델을 탑재하기 위한 온디바이스 기술 △실제 목소리로 더빙 음성을 자동 생성하는 AI 기술 등을 공유한다.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S)부문장 부회장은 "삼성전자는 다양한 업무영역에 AI 기술을 적용해 언제 어디서나 쉽고 빠르게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산업계와 학계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을 모시고 AI가 사회와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논의하고 함께 지혜를 나누는 의미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지은 기자(qqji0516@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삼성전자, 반도체 난제 해결·생산성 향상 AI 전략 논의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