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최근 해외 직구 증가 등으로 국내로 들어오는 반입물이 늘어나는 가운데, 공항·항만 등을 통해 국내로 들어오려다 방사선 감시기에 적발돼 해외로 반송되는 물량이 적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신성범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민의힘)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공항·항만 방사선 감시기 유의물질 검출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와 올해 공항과 항만으로 들어오던 장난감, 티백, 온열패드 등 방사선 감시기에 적발된 유의물질이 16건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물품은 수출국으로 반송조치 되는데 수출국 기준 가장 많은 곳은 중국과 베트남이 각 3건, 미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각 2건이었다.
![신성범 국회의원(가운데). [사진=정소희 기자]](https://image.inews24.com/v1/814818994289cb.jpg)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해외로부터 방사성 물질이 국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전국 공항과 항만에서 방사선 감시 활동을 하고 있다. 2025년 9월 현재 전국 공항과 항만에 152대의 방사선 감시기를 설치·운영 중에 있다.
문제는 감시기 효과를 담보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이다.
신성범 의원은 “방사선 감시기는 통상 8m 폭까지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데 항만의 경우 이보다 훨씬 큰 품목들이 들어오고 있어 감시 사각지대에 놓여있다”고 지적한 뒤 “감천 부두, 포항 신항, 평택·당진항 등 전국에 이 같은 부두가 무려 17개에 달하는 만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조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신성범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재활용 고철 방사선 감시기 유의물질 검출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재활용 고철에서 유의물질이 검출된 사례도 14건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문제는 14건중 3건의 수입품은 해당국으로 반송조치하면 되는데, 나머지 11건의 국내반송 물건들의 경우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다는 점이다.
신 의원은 “전문 재활용 고철취급자들과 달리 영세 업체들은 방사선 감시기도 없고 관리 사각지대여서 문제”라며 “생활분야 방사선 노출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철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