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구청사. [사진=용산구]](https://static.inews24.com/v1/3955109041e2f4.jpg)
[아이뉴스24 홍성효 기자] “지방자치는 단순한 행정의 분권이 아니라 주민의 삶을 바꾸는 힘이었기에 지난 30년은 주민이 진짜 주인이 된 시간이었다. 앞으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 본격화되면 여의도·강남을 잇는 서울의 3대 금융벨트가 완성될 것이고 국제금융·IT·콘텐츠·MICE 산업이 융합된 글로벌 경제 중심으로 성장할 것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지방자치 30주년을 맞아 이같이 말했다. 그는 ‘미래 준비’, ‘안전 도시’, ‘균형 재개발’을 핵심 축으로 삼고 도시 구조를 전면적으로 재편하는 사업들을 총괄하고 있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도시 구조 전환기를 맞은 용산의 특성을 고려해 ‘계획과 실행을 동시에 추진하는 구청장’으로 평가받는다. 국제업무지구·전자상가 재편·한남뉴타운처럼 이해관계가 복잡한 사업은 주민과 기관, 민간 시행사가 얽혀 있어 장기간 표류해온 경우가 많았지만 그는 취임 이후 개별 사업단을 정비하고 기관 간 조정 체계를 확립하며 정체된 사업들을 실질적으로 움직여왔다.
![용산구청사. [사진=용산구]](https://static.inews24.com/v1/3ab3431321456a.jpg)
용산은 조선 시대 한양의 남쪽 관문이자 교통·군사 요충지로 기능했다. 남단에는 한강 나루와 도성 출입로가 위치했고 북쪽에는 의주로가 이어지며 상업과 물류가 활발했던 지역이다. 근대기에는 경부선·경의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전국 물류의 중심지가 되었고, 용산역과 한강철교 일대는 군수물자와 공업제품이 집결하는 산업 중심지로 성장했다.
광복 이후 미군기지가 주둔하며 외교·군사 기능이 중첩된 독특한 도시 구조가 형성됐고, 1970~1990년대에는 전자산업·철도 기반시설·주거지·상업지가 혼재한 복합도시로 확장됐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용산은 주거·업무·외교·교통이 공존하는 서울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았고 최근에는 국제업무지구 조성으로 글로벌 기능을 갖춘 국제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1995년 관내 인구는 약 26만명이었으나 2025년 기준 약 21만명으로 감소했다. 반면 세대 수는 약 9만 세대에서 10만 세대로 늘며 1·2인 가구 중심의 생활 구조가 강화됐다. 재정 규모는 2005년 1606억원에서 2025년 6633억원 수준으로 증가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서울의 장기 숙원사업이었다. 수차례 무산과 변경을 거쳐 2025년부터 국가·서울시·용산구의 협력 구조 아래에서 시행계획이 재정비되고 있다.
교통영향 분석 결과 국제업무지구가 완성되면 용산역 주변 교통량이 4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업무·상업·국제기능이 결합된 복합도시로의 전환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용산구는 전담 조직을 구성해 사업지 전체에 대한 시행계획 보완과 단계별 착수 준비를 지속하고 있다.
![용산구청사. [사진=용산구]](https://static.inews24.com/v1/ffd1d09197fd87.jpg)
지난 4월 용산전자상가가 특정개발진흥지구 대상지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는 대규모 도시 재편이 본격화하며 창업지원·도시제조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첨단산업 거점 조성이 추진되고 있는 것이다. 구는 전자상가를 국제업무지구·한강변과 잇는 ‘삼중 경제벨트’의 핵심축으로 보고 있으며 2026년 지구지정 고시를 목표로 중장기 개발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한남뉴타운은 서울 도심 주거정비의 대표 사례다. 2~5구역은 조합 설립, 사업시행인가, 정비계획 고시 등 단계별 추진이 본궤도에 올라 있으며 대규모 주거지로 재편되고 있다. 구는 ‘한남3구역 이주관리 백서’를 제작해 진행률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으며 동물보호·임대주택 조기 확보 등 주민 갈등을 예방하는 세부 정책도 병행 중이다.
중산시범아파트는 1990년대 재건축 가능 판정을 받았지만 토지·건물 소유권 이원화 문제로 사업이 장기간 정체돼 왔다. 용산구는 2024년 대부료 납부 방식 조정을 통해 조합 요건 충족을 지원하며 사업 정상화를 이끌었다. 수십 년간 멈춰 있던 정비사업이 재개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
용산구는 이태원 참사 이후 안전행정 전반을 전면 개편했다. 올해 핼러윈 대비에는 1300명의 인력을 투입하고 혼잡도 4단계 기준, CCTV 확충, 비상벨 설치 등 체계적 안전대책을 마련했다.
용산은 국제업무지구·전자상가·한남뉴타운 같은 대규모 개발이 동시에 추진되는 한편, 후암·이촌·서빙고 등 기존 주거지역의 정체성이 살아 있는 도시다. 구는 대규모 개발로 인한 원주민 이탈과 임대료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해 생활권 중심의 도시관리계획을 병행하고 있다. 이촌동·서빙고동의 정비 심의, 주거·업무·상업을 연결하는 교통특화계획 등을 통해 ‘개발과 생활의 균형’을 도시정책의 핵심 목표로 삼고 있다.
![용산구청사. [사진=용산구]](https://static.inews24.com/v1/9f193d0f2c871b.jpg)
용산구는 향후 도시 비전을 네 축으로 제시하고 있다. △외국인 교육수요에 대응하는 교육국제화특구 지정 추진 △문화·축제·교육 기능을 통합하는 용산문화재단 설립 △도심권 최초 수준의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중장년·어르신 일자리를 지원하는 용산50플러스센터·용산시니어클럽 확대다.
주민참여형 도시계획, 데이터 기반 안전도시 체계 등 미래형 행정체계를 도입해 ‘주거·업무·문화·안전’이 결합된 국제도시 모델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용산구청장으로서 저는 ‘마라토너’가 아닌 ‘이어달리기 주자’라고 생각하며 임기 동안 멈추지 않고 달리며 당장 성과를 내고, 중장기 계획도 흔들림 없이 추진하는 것이 제 역할이다"라며 "임기 내에 완료되지 않더라도 용산을 위한 일이라면 끝까지 책임지고 제 자리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고 개발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도 모두가 함께 누리는 도시를 만들고 그동안 누리지 못한 기회를 당연한 권리로 돌려드리며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용산을 완성하겠다”고 말했다.
/홍성효 기자(shhong0820@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