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단독] 캐나다, 우리 정부에 현지 자동차공장 설립 의향 타진


60조원 규모 잠수함 사업 거래 조건으로 제시했을 수
현대차에 직접 제안하지는 않고 가능성만 따져본 듯

[아이뉴스24 최란 기자] 60조원 규모의 차세대 잠수함 사업(CPSP)을 추진하고 있는 캐나다 정부의 고위 관계자가 우리 정부 측 고위 인사에게 캐나다에 현대자동차 공장을 설립할 수 있는 지 의향을 물어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우리 측 고위 인사는 현대자동차에 이를 타진해볼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캐나다 정부가 60조원 규모의 잠수함 사업에서 독일과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이고 있는 한국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될 수도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김민석 국무총리(오른쪽부터)와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30일 경남 거제 한화오션 거제조선소에서 조립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왼쪽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오른쪽부터)와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30일 경남 거제 한화오션 거제조선소에서 조립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왼쪽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19일 아이뉴스24 취재에 따르면, 최근 캐나다 총리실 고위 관계자가 우리 정부 측 고위 관계자에게 캐나다에 현대자동차 공장을 설립할 수 있는지 의향을 물어봤다. 다만 이는 캐나다 정부가 현대자동차 측에 공식적으로 제안한 내용은 아니며, 우리 정부 측 고위 인사를 통해 가능성을 타진하는 수준에서 이뤄진 것이다.

캐나다는 현재 차세대 잠수함 도입 사업을 추진 중이다. 국내 한화오션은 독일 티센크루프마린시스템(TKMS)과 함께 최종 후보군으로 선정돼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 사업은 캐나다 왕립해군이 보유한 2400톤급 빅토리아급 잠수함 4척을 2030년대 중반쯤 3000톤급 신규 디젤추진잠수함으로 최대 12척을 대체 획득하는 사업이다.

잠수함 건조비만 약 200억달러(약 28조원)이고 유지·보수·정비(MRO)까지 포함할 경우 60조원 규모다. 수주에 성공하면 단일 방산수출 계약으론 사상 최대규모다.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의 잠수함 건조 능력은 캐나다 해군으로부터 인정받고 있다. 특히 지난달 30일 APEC 정상회의 기간 당시 한화오션 거제조선소를 방문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기술력으로만 승부가 결정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일에 정통한 업계 관계자는 "성능 면에서는 한국과 독일이 대등한 수준"이라며 "승패를 가를 핵심은 산업협력과 외교관계”라고 말했다. 60조원이라는 거액이 달릴 일인 만큼 한국 측에서도 그에 상응한 반대급부를 제공해야 한다는 의미다.

캐나다 측은 그 반대급부로 현대자동차 캐나다 공장을 생각했을 수 있는 셈이다.

김민석 국무총리(오른쪽부터)와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30일 경남 거제 한화오션 거제조선소에서 조립공장을 시찰하고 있다. 왼쪽은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김민석 국무총리와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30일 경남 거제 한화오션 거제조선소에서 장영실함을 시찰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데이비드 맥귄티 캐나다 국방장관, 김 총리, 카니 총리,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현대차는 캐나다에 전기차 전용 공장 설립을 검토한 바 있다. 지난 2023년 현대차 캐나다법인장은 캐나다 정부 고위 관계자들과 전기차 공장 설립을 논의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캐나다에서 현대차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 자동차 공장 설립에 대한 관심이 크다"고 설명했다. 다만 일정, 생산량, 투자 규모 등 고려해야 할 변수가 많아 이 일이 실제로 성사될 지는 미지수다.

한편 우리 정부는 캐나다에 잠수함을 수출하는 대신 캐나다로부터 같은 규모의 다른 제품을 수입하는 절충 교역 방안 등을 구상 중이다. 예를 들어 원유와 광물자원이 풍부한 캐나다로부터 LNG 등 에너지 자원을 구매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잠수함 사업의 경우 캐나다와 유럽의 긴밀한 외교 관계 때문에 독일이 더 유리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 측이 (현대차 공장 설립 같은) 산업협력에서 좋은 조건을 제시하더라도 (유럽과 캐나다의) 전통적인 우방 관계라는 외교적 변수를 극복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최란 기자(ra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단독] 캐나다, 우리 정부에 현지 자동차공장 설립 의향 타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