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셀트리온그룹, 미래 청사진 공개⋯"국내외 생산능력 확대" (종합)


美 공장 인수 즉시 증설⋯국내 공장 증설도 동시 진행해 성장 속도
38년까지 41종 시밀러 상업화⋯비만 등 신약 파이프라인도 확대

[아이뉴스24 정승필 기자] 셀트리온이 국내외 생산설비를 동시에 증설하고, 기존 바이오시밀러 사업 강화는 물론 차세대 비만치료제 개발에 착수한다고 예고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19일 열린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그룹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며 설명하고 있는 모습. [사진=셀트리온 제공 ]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19일 열린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그룹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며 설명하고 있는 모습. [사진=셀트리온 제공 ]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19일 열린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그룹 미래 청사진을 공개했다. 핵심 전략은 △미국 일라이릴리 미국 공장 증설 및 향후 활용 계획 △국내 신규 생산시설 투자 계획 △2038년까지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 41종 확보 △비만치료제를 비롯한 신약 개발 역량 강화 등이다.

美 공장 인수 즉시 증설 추진…국내 신규 생산시설도 추가

우선 셀트리온은 올해 안으로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있는 일라이릴리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인수를 마무리하고, 인수 직후 캐파(생산능력) 확장에 나선다. 이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해소하고, 글로벌 수요 확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해당 공장 캐파만으로도 미국 내 셀트리온 제품 생산은 가능하지만, 조만간 추가될 신규 제품과 일라이릴리의 위탁생산(CMO) 물량까지 고려하면 증설이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이에 따라 단계적인 생산설비 확장을 추진하는 것이다.

미국 생산시설 확보와 케파 확대에 총 1조4000억원이 투입된다. 공장 인수에는 7000억원이, 케파 확대에는 7000억원이 추가로 투입되는 방식이다. 증설은 두 단계로 나눠 진행된다. 1차로 3년에 걸쳐 1만1000L 배양기 3기를 증설하고, 이후 수요에 따라 같은 규모를 추가해 총 6만6000L를 5년 내 확충할 계획이다. 예비 설계는 이미 진행 중이며, 연말까지 인허가 절차를 마친 뒤 인수 직후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국내에선 신규 생산시설 추가로 확보한다. 4조원 규모를 투자해 송도 캠퍼스 내 건설 중인 완제의약품(DP) 공장과 함께 △신규 원료의약품(DS)공장(인천 송도) △신규 완제의약품(DP) 공장(충남 예산) △신규 PFS(사전 충전형 주사기) 생산공장(충북 오창)을 건설할 계획이다. 지역별 우선순위는 정해지지 않았다.

서 회장은 "1공장 옆에 DS공장이 공사 중이고, 예산 공장도 증설하기 위해 충청북도와 부지 관련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오창 PFS 공장 역시 증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공표한 만큼 36만 리터를 증설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며 "투자 기간은 3년이 될지 5년이 될지 가변적"이라고 덧붙였다.

"연평균 2~3종 신규 바이오시밀러 출시로 2038년까지 41종 확보할 것"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 사업도 확대한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 허가를 받은 11종 제품을 포함해, 2038년까지 총 41종 제품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한다. 연평균 2~3종의 신규 제품을 출시해 라인업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먼저 2030년까지 7종의 신규 바이오시밀러를 추가 출시해 총 18종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확보할 예정이다. 목표 제품은 △키트루다(흑색종) △코센틱스(건선) △오크레부스(다발성경화증) △다잘렉스(다발성골수종) 등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2027년까지 신약 파이프라인 20종 목표⋯4중 작용 비만치료제도 포함

셀트리온은 신약 개발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파이프라인 확대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항체약물접합체(ADC)와 다중항체 신약은 내년 임상에 진입할 4종을 포함해 총 10여 종을 보유하고 있다. 2027년에는 임상 단계 물질 10종 이상을 포함한 총 20종 파이프라인 확보를 목표로 한다.

셀트리온 신약 파이프라인에는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전략을 통한 후보물질 5종도 포함돼 있다. 이들 후보물질은 FcRn(태아 Fc 수용체) 타깃 단백질 물질을 비롯해 삼중항체 플랫폼, ADC 플랫폼, 공간전사체 플랫폼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비만치료제 개발도 본격화한다. 현재 개발 중인 'CT-G32'는 기존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 기반 2중·3중 작용제를 넘어서는 4중 타깃 방식이다. 개인별 효과 편차와 근손실 등 기존 치료제의 단점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셀트리온은 지방분해 촉진과 체중 감소율이 최대 25%까지 높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서 회장은 "올 연말까지 4중 작용 비만 후보물질 특허 등록과 동물 임상을 끝내고, 내년엔 허가를 위한 전임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승필 기자(pilihp@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셀트리온그룹, 미래 청사진 공개⋯"국내외 생산능력 확대" (종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