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대국민 인식 조사 결과 10명 중 8명은 기후위기 시대에 ‘저탄소 식단·대체식품 확산 필요성’에 공감했다.
비영리단체 기후솔루션이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저탄소 식단과 대체식품 인식 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응답자의 81%가 “저탄소 식단·대체식품 확산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나아가 “정부가 핵심적 역할을 맡아야 한다”는 요구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솔루션이 여론조사 전문회사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이번 조사 결과, 우리 사회가 기후위기를 심각한 문제로 인식함에도 이를 실천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식습관 전환 정책과 제도 기반은 충분히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10명 중 8명은 기후위기 시대에 ‘저탄소 식단·대체식품 확산 필요성’에 공감했다. [사진=기후솔루션]](https://image.inews24.com/v1/12700f51bc99b0.jpg)
응답자의 91%는 기후위기를 ‘중요한 문제’로 인식했다. 기후위기에 영향을 미치는 식품 관련 주요 요인으로는 플라스틱·일회용품(94%), 음식물 쓰레기(90%), 공장식 축산·육류 소비 증가(89%) 등이 꼽혔다. 먹거리와 관련된 이슈가 비중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먹거리와 관련된 온실가스 배출 비중은 산출 방식에 따라 차이는 있는데 최대 약 37%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한 주체는 ‘환경단체’(69%)와 ‘나 자신’(57%)이 높게 나타났다. 중앙정부(46%), 지자체(38%), 기업(36%) 등의 노력은 낮게 평가했다. 정책 대응 부족에 대한 국민 인식이 뚜렷하게 드러난 결과로 해석된다.
저탄소 식단 개념을 “잘 모른다”고 답한 비율은 63%에 이르렀다. 10명 중 8명(76%)은 “앞으로 실천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미 실천 중이거나 실천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건강 증진(44%), 체중관리(16%), 환경 보호(5%) 등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반대로 실천 의향이 없는 응답자는 익숙함, 맛·식감에 대한 걱정, 높은 가격 등을 주요 장애 요인으로 제시했다.
“저탄소 식단이 기후위기 대응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85%로 매우 높았다. 정부·산업이 제도·인식·시장 여건만 마련한다면 빠른 확산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물 단백질의 맛과 식감을 재현하는 대체식품에 대한 인지도는 식물성 단백질(61%)이 가장 높았고 이어 식용곤충(51%), 미생물 발효식품(34%), 배양육(31%) 순이었다.
아직 제품 접근성이 낮은 신제품군(배양육, 미생물 발효식품)은 인지도가 낮았다. 대체식품 섭취 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70%가 맛·식감에 “만족했다”고 응답했다.
섭취 경험이 없고 앞으로 의향도 없는 응답자들은 맛·식감, 제품 신뢰도 부족, 가격 부담, 접근성 부족 순으로 주된 이유를 들었다. 대체식품 확산의 핵심은 더 좋은 풍미를 낼 수 있는 기술 개발과 안정성·품질 확보, 합리적 가격 형성에 달려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사 결과 81%가 “저탄소 식단·대체식품 확산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확산의 책임 주체로는 1위 중앙정부(54%) → 2위 식품기업(15%) → 3위 일반 시민(12%) → 4위 지자체(6%) 순으로 응답했다.
김다혜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조사 결과는 저탄소 식단과 대체식품이 국민의 지지를 얻고 있으며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이를 뒷받침할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가격·맛·신뢰·접근성을 해결하면 시장은 훨씬 빠르게 성장할 수 있고 저탄소 식단은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수단이자 국민 건강을 개선하는 장기적 식습관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한국리서치가 기후솔루션의 의뢰를 받아 지난 3월 11일부터 17일까지 일주일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0명을 지역별, 성별, 연령별 비례 할당 추출해 웹 설문 응답 방식으로 조사했다.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p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