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효진 기자] 중국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시사 발언과 관련해 경고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일본의 양안 상황 개입은 침략행위에 해당한다며 자위권을 행사할 것이라고 했다.
![사진은 다카이치 사나에(왼쪽)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e459df7e19e254.jpg)
21일(현지시간) 중국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푸충 유엔 주재 중국대표부 대사는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보낸 서한에서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에 대한 중국 정부의 입장을 설명하고 발언 철회를 촉구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푸 대사는 다카이치 총리의 발언이 "일본이 대만 문제에 군사적으로 개입하려는 야심을 처음으로 드러낸 것이자 중국의 핵심이익에 공개적으로 도전하며 중국에 무력 위협을 가한 첫 사례"라며 "이러한 발언은 매우 잘못되고 위험하며 그 성격과 영향이 극히 악질적"이라고 주장했다.
또 "일본이 감히 양안 상황에 무력 개입을 시도한다면 이는 침략행위가 될 것"이라며 "중국은 유엔헌장과 국제법에 따라 자위권을 단호히 행사해 주권과 영토 완전성을 확고히 수호할 것"이라고 했다.
신화통신은 이 서한이 유엔총회 공식문서로 전체 회원국에 배포할 것이라고 전했다.
푸 대사의 언급은 일본이 대만 유사시를 이유로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경우 중국이 무력으로 대응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중국 관영매체도 '전쟁 위험'을 언급하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이날 주요 국제 문제에 관한 입장을 밝히는 종소리(鐘聲) 논평에서 "다카이치 총리의 잘못된 언행은 전쟁을 좋아하면 반드시 멸망(好戰必亡)하게 되는 위험한 국면으로 일본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문은 "(다카이치 총리가) 소위 '존망의 위기'를 과장하면서 실질적으로는 군사적 규제를 풀고 개헌과 군비확장을 추진하기 위한 구실을 찾고 있다"며 "이런 위험한 동향은 전후 국제질서에 대한 심각한 도전이며 일본 국민을 다시금 전쟁의 위험에 처하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효진 기자(newhjnew@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