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SK텔레콤이 해킹 사고에 따른 보상·과징금, AI 인프라 투자 확대에 이어 수조원대 주파수 재할당대가라는 삼중고에 놓였다. 재무 실적이 급격히 훼손된 상황에서 필수 투자와 규제 비용이 맞물리며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
![SK텔레콤 T타워 전경. [사진=SKT]](https://image.inews24.com/v1/565cd14a36b3ad.jpg)
24일 공시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사이버 침해사고 여파로 올해 3분기 별도 기준 522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지난 7월 위약금 면제 조치 이후 가입자 이탈이 늘었고, 8월에는 요금 50% 감면과 각종 보상 프로그램이 적용되며 무선매출이 크게 흔들렸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과징금 1348억원도 수익성 악화 주요 요인이 됐다.
그럼에도 AI 투자에는 속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SK텔레콤은 AI 에이전트, AI 데이터센터(AI DC) 구축을 비롯해 정부의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AI 경쟁력을 확보하고 나아가 AI 3대 강국 도약에 기여하기 위해 GPU와 전력 인프라 등에 선제적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AI 투자·해킹 사고로 재무 여력이 줄어든 상황에서 주파수 재할당이라는 비용 변수도 동시에 맞닥뜨리고 있다. 많게는 수조원대 자금이 필요한 만큼 재무 압박이 불가피하다. 주파수 정책 방향에 따라 AI 인프라 확장 속도가 좌우될 수 있다. 최근 SK텔레콤이 합리적 주파수 산정대가 기준을 요구하고 있는 배경이다.
최대 쟁점은 2.6㎓ 대역 주파수 재할당대가의 산정 방식이다. 동일한 대역임에도 SK텔레콤이 LG유플러스보다 두 배 넘는 주파수 할당대가를 부담해왔다는 논란이 제기되면서다.
앞서 SK텔레콤은 2016년 주파수 경매에서 2.6㎓ 대역 60㎒(40㎒ 9500억원, 20㎒ 3277억원)를 1조2777억원에 낙찰받았다. 반면 LG유플러스는 더 이른 시기인 2013년 경매에서 2.6㎓ 대역 40㎒를 4788억원에 가져갔다. 이후 2021년 재할당 과정에서 추가 할인(27.5%)까지 적용받았다.
SK텔레콤은 주파수 할당대가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재할당대가는 향후 주파수 이용에 대한 대가를 정하는 것인 만큼 재할당 시점의 경제적 가치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마치 전성기가 지난 상권에 활황기 월세를 그대로 책정하는 상황과 같다"고 비유했다.
사업자 간 형평성 문제 해소, LTE 가치 하락에 따른 대가 조정 등이 주파수 할당 계획에 포함될지 여부에 따라 SK텔레콤 투자 전략이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AI 전환과 해킹 사고 등 불확실성이 큰 시기에 주파수 재할당은 최대 변수"라며 "합리적 방안을 마련해야 산업계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세준 기자(nocount-ju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