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정부 "K-배터리 2030년 글로벌 점유율 25% 목표"


연내 '2035 이차전지 산업기술 로드맵' 수립
차세대 배터리 기술에 29년까지 2800억 투입
내년 핵심광물 공급안전망기금 1000억으로 늘려
전기차 보조금 올해 7153억에서 내년 9360억으로 확대

[아이뉴스24 권서아 기자] 정부가 오는 2030년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점유율을 25%까지 끌어올리겠다고 28일 밝혔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9월까지 국내 배터리 3사의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 점유율은 16.9%로 지난해보다 3.3%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중국 기업은 79%로 3.4%포인트 올랐다.

산업통상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8차 국가첨단전략산업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K-배터리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탑재된 '앱테라 모터스' 태양광 모빌리티. [사진=김종성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탑재된 '앱테라 모터스' 태양광 모빌리티. [사진=김종성 기자]

정부는 전기차 수요 둔화와 중국 배터리 업체의 가격 경쟁 심화로 어려움이 커진 국내 배터리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차세대 기술 개발, 공급망 강화, 국내 생산기반 유지 등을 중심으로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정부는 연내 '2035 이차전지 산업기술 로드맵'을 수립하고 중장기 연구개발(R&D) 방향성과 기술 목표를 제시하기로 했다.

또 전고체·리튬금속·리튬황 등 차세대 배터리 기술 확보를 위해 2029년까지 약 2800억원을 투입한다.

중국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보급형 배터리 시장 대응을 위해 '리튬·인산철(LFP) 플러스' 전략도 추진한다. 리튬망간인산철(LMFP), 리튬망간리치(LMR), 나트륨 배터리 등 차세대 보급형 배터리 기술을 고도화해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대중국 의존도가 높은 핵심광물의 국내 생산 지원을 확대하고, 공급망안정화기금을 내년 1000억원 규모로 늘린다. 핵심광물 공공비축 확대와 사용후배터리 재자원화 지원도 병행한다.

정부는 국내 생산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고부가가치 기능과 차세대 R&D를 국내 '마더팩토리(중심 생산기지)'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기차 보조금은 올해 7153억원에서 내년 9360억원으로 확대한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중앙계약시장에서도 공급망 요소를 평가에 반영해 국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충청-호남-영남을 잇는 '배터리 삼각벨트'도 구축한다. 정부는 권역별 특화 전략으로 충청권의 배터리 제조, 호남권의 핵심광물·양극재, 영남권의 핵심소재·미래수요를 연계한 '배터리 삼각벨트'를 구축하기로 했다.

다음 달에는 이차전지·로봇·방산 분야 신규 특화단지 공모도 시작한다. 니켈·리튬 등 이차전지 기초 원료 생산을 지원하는 특화단지와 함께 휴머노이드 로봇, 첨단항공엔진 특화단지가 지정 대상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탑재된 '앱테라 모터스' 태양광 모빌리티. [사진=김종성 기자]
삼성SDI의 21700 원통형 배터리가 탑재된 현대차·기아의 로봇 달이(DAL-e). [사진=김종성 기자]

국가첨단전략기술 신규 지정도 추진한다. 정부는 원전·미래차·인공지능 등 산업 경쟁력 제고에 중요한 기술을 중심으로 국가첨단전략기술 신규 지정을 우선 검토하고, 다음 달 관련 부처와 기업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한다.

현재는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바이오·로봇·방산 등 6개 산업 분야 19개 기술이 국가첨단전략기술로 지정돼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전기차 캐즘과 중국의 빠른 추격으로 국내 배터리 산업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며 "차세대 기술 로드맵 마련, 공급망 안정화, 국내 생산 기반 유지에 정부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서아 기자(seoahkwo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정부 "K-배터리 2030년 글로벌 점유율 25% 목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