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임승제 기자] "검찰이 지난 2022년 5월 10일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후보 공천 관련 국민의힘 공관위 회의록을 제출하지 않으면 '윤석열·김건희 전 대통령 부부'를 증인으로 신청할 것입니다."
'윤석열·김건희 전 대통령 부부 공천개입 의혹 사건'의 핵심 당사자인 명태균씨가 지난 7일 법정에서 "검찰이 국민의힘 중앙당사 압수수색 당시 회의록을 확보하고도 증거 기록 열람 신청에 응하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명씨는 재판부에 "검찰이 압수해서 가지고 있다. 제가 (검찰) 조사를 받을 때 확인했다"면서 국민의힘 공관위 회의록 제출을 거듭 요청했다.

창원지법 형사4부(재판장 김인택 부장판사)는 이날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로 기소된 명씨와 김영선 전 의원 등 '윤석열·김건희 부부 공천개입 의혹사건’ 관련 피고인 5명에 대한 8차 공판을 진행했다.
이날 재판에는 지난 보궐선거 당시 김 전 의원을 수행했던 A씨와 A씨의 친구이자 김 전 의원에게 5000만원을 빌려준 B씨가 출석했다.
명씨 측 변호인은 이날 "윤 전 대통령 부부와 함께 윤상현 의원과 한기호 의원을 증인으로 신청하겠다"고 했다. 윤 의원과 한 의원은 2022년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과 사무총장으로 당연직 공관위원이다.
명씨 측의 주장은 검찰이 국민의힘 중앙당사를 압수수색해 당시 확보한 공관위 회의록을 통해 김영선 후보의 단수 공천 확정 때 투표로 결정한 증거를 확보하고도 이를 감추기 위해 증거 제출을 꺼리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명씨 측 변호인은 "검찰이 수사기록 열람복사 신청을 거부하고 있어 명확한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윤 전 대통령 부부 등 4명을 증인으로 소환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검찰은 "압수한 것이 아니고 임의제출 형식으로 확보한 자료"라고 밝혔다.
재판장은 검찰 측에 "자료가 있으면 변호인들의 요구에 불응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자료 제출을 지시했다.
명씨는 2021년 대선 당시 여론조사를 통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를 도와주고 그 대가로 이듬해 열린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 때 김영선 전 의원이 경남 창원시 의창구에 공천을 받게 해줬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날 재판 과정에서 명씨는 검찰을 향해 강하게 항변했다. 명씨로부터 공천을 받기로 했다는 A씨의 검찰 진술조서를 두고서다.
검찰은 "증인이 검찰에서 피고인 배OO와 이OO이 명태균을 통해 공천을 받으려고 한 것을 알고 있다고 진술했는데 이 사실을 어떻게 알게됐느냐"고 물었고 A씨는 "배OO씨가 어쨌던 그렇게 줄을 댔다고 그랬다나···."라며 말끝을 흐렸다.
이에 명씨가 "증인이 생각하는 걸 하지 말고 확인한 것만 하십시오"라고 하자, 검찰은 "증인이 그럼 들은 내용만 말씀하세요"라고 했다.
검찰은 재차 A씨에게 "(배씨와 이씨의 공천에 대해) 증인의 생각인지 아니면 누구한테 들은 게 있는지 그걸 지금 확인하려 하는 것입니다"라고 했다. 재판장도 이에 대해 "근거가 있으면 근거를 얘기해 보라"고 지시했다.
이에 A씨는 "근거는 없고 제가 이제 추측은 개인적으로 그렇게 생각을 한 것"이라며 "그때 상황은 제가 그분들하고 친하지도 않았고 또 뒤늦게 합류를 했기 때문에 돌아가는 사정 파악은 제가 잘 모르는 상황이었다"고 답변했다.
재판부는 재차 반박하는 명씨를 제지한 뒤 A씨에게 "방금 얘기한 것은 증인이 나중에 사후적으로 생각해보니까 그런 것 같더라는 취지입니까"라며 "당시는 배씨 등 2명을 이름도 모르고 잘 몰랐고 친하지도 않았는데 나중에 이 사건이 터지고 나서 생각해보니까 명태균한테 줄을 대서 공천을 받으려고 했구나. 이런 취지로 얘기한 것이라는 겁니까"라고 묻자, A씨는 "맞습니다"라고 했다.
A씨는 이어진 검찰 심문에서 지난 지방선거 관련 국민의힘 경북 봉화군수·영주시장 경기도 양주시장, 서울시의원(서초갑) 후보로 공천 받기 위해 준비한 사실이 있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명씨는 A씨에 대한 증인 심문에서 "영주에 출마하셨다면 선거 사무실 차렸습니까"라고 물었고 A씨는 "차리지 않았다"고 했다. 이어 "양주에 출마하려고 했다는데 사무실 차렸습니까"라고 하자, A씨는 "방만 구하고 주소만 옮겼다"며 "저는 공천 받을 생각도 없었고 출마할 생각도 없었다"고 답했다.
또 명씨는 "A씨 가족이 창원 신규 국가산업단지에 땅을 산 것을 두고 검찰이 약점을 잡아 압박해 물어보니 언론에 나온 것으로 답변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진술조서 신빙성에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대해 검찰과 A씨 모두 "그런 일 없었다"고 밝혔다.

한편 김영선 전 의원은 이날 재판 출석에 앞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추가 기소된 사건을 심리하는 창원지법 형사2부(김성환 부장판사)에 대해 기피신청을 했다고 밝혔다.
김 전 의원은 기피사유로 "재판은 기소 사항에 대해 피고인이 입증 탄핵의 기회를 주는 것인데 (재판부가) 피고인의 직접 항변권을 제한하고 방어권을 보장하기 위한 (발언) 시간도 제한하면서 권리를 박탈하고 있다"며 "이건 기소 보강이지 재판이라고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다음 공판은 오는 21일 오전 10시 같은 법정에서 열린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