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김민희 기자] 기관투자가에 대한 의무보유 확약 우선 배정 제도 도입 이후 기업공개(IPO) 시장에서 의무보유 확약 비율이 늘고 있다. 향후 코너스톤투자자 제도 도입을 감안할 때 IPO 시장에서의 장기 투자 분위기가 이어질 지 주목된다.
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달 초 상장한 대한조선은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에서 기관투자가 대상 전체 배정 물량의 56.9%가 의무보유 확약으로 채워졌다. 이 중 3개월 이상 장기 확약 비중도 39.5%에 달했다. 최근 수요예측을 마친 삼양컴텍은 의무보유 확약 비율이 48.4%였고, 3개월 이상은 33.4%였다. 지난 5일 공모가를 확정한 에스엔시스 역시 27.4%의 확약 물량 중 16.0%가 3개월 이상 의무보유 확약이었다.
2024년 기관투자가 배정 물량 중 의무보유 확약 물량이 평균 약 20% 수준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사진=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image.inews24.com/v1/a759e53139b765.jpg)
이는 5월 공모가격이 확정됐던 링크솔루션(확약 비율 1.83%), 지씨지놈(1.04%)과 비교할 때 큰 변화다.
금융당국은 기관투자가의 장기 투자 유인을 높이기 위해 의무보유 확약 투자자에 대한 우선 배정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고, 해당 제도는 올해 7월1일부터 시행됐다.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는 기업은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 중 정책펀드를 제외한 40% 이상을 의무보유 확약 기관에 우선 배정해야 한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주관사가 공모 물량의 1%를 직접 인수해 6개월간 보유해야 한다는 부담이 따른다.
확약 기간에 따른 가점 기준도 대폭 강화됐다. 기존에는 3개월 확약이 가장 높은 점수(3점)를 받았으나, 새 제도에선 6개월 확약 시 7점, 3개월 5점, 1개월 3점, 15일 2점 등으로 기간별 차등 가점이 적용된다.
시장에서는 의무보유확약 우선 배정 제도 시행에 따라 IPO 시장에 장기 자금이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7월 이전까지만 해도 공모 청약은 단기 차익을 노린 수요가 주를 이루면서 상장 후 주가 급락 등의 부작용도 빈번하게 발생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의무보유 확약 우선 배정 제도가 정착되면 단기 이탈보다 장기 자금 유입이 늘면서 공모 시장의 수급 구조도 보다 안정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민희 기자(minimi@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