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협치, 여당에 달렸다"…대통령 빗겨 '정청래' 겨눈 송언석[종합]


정기국회 국민의힘 교섭단체 대표연설
宋, 검찰 폐지 등 '與 속도전' 집중 지적
이 대통령 보다 '여당 입법독재'에 초점
"대통령과는 민생협의 합의…與 실천만 남아"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아이뉴스24 유범열 기자] '용산 회동' 하루 만에 전날(9일)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야 강공 모드로 나서자, 이를 받아든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지지 않고 여권을 향해 맞불을 놓았다.

송 원내대표는 '진전되지 못하고 있는 협치'의 책임은 주로 정 대표에게 돌렸다.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비판도 빼놓지 않았지만, 비중이나 강도 면에서 봤을 때 상징적이라는 평가다. 연설의 상당 부분은 여당인 민주당의 '입법 독재'로 초점이 맞춰졌다. 검찰청 폐지 등 당정이 최근 사사건건 부딪히는 상황에서 '여야통' 3자 구도 속 정 대표 고립을 꾀하는 의도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송 원내대표는 10일 국회에서 열린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여당이 속도전에 들어간 △'더 센' 3대 특검법 △내란특별재판부 설치 △검찰청 해체를 골자로 한 검찰개혁안의 중단을 강하게 요구했다. 국민의힘은 이 3가지 이행 여부를 지난 8일 용산 회동에서 협치 필요성을 강조한 이 대통령의 진정성을 가늠할 기준으로 삼아왔다.

송 원내대표는 다만 민주당이 추석 전 검찰청 폐지 완수 입장을 거듭 확인하는 등 3가지에 대한 속도전을 고수하는 것과 관련해, 이날 '이 대통령 책임론'은 크게 언급하지는 않았다. 실제 연설 전체에서도 가장 많이 반복된 단어는 '독재(8회)'로, 여당의 의회 독주를 겨냥한 것이었다.

그는 "더불어민주당이 만든 공수처와 특검에게는 수사권과 기소권을 몽땅 다 주면서, 왜 검찰의 수사권은 빼앗아야 하는 것이냐"며 "검찰 해체는 단순한 행정 개편이 아닌 1949년 검찰청법 제정 이후 76년 간 유지해온 대한민국 형사사법 체계를 바꾸는 중대한 사안이다. 이런 중대한 입법을 여야 합의, 사회적 숙의, 국민의 동의도 없이 속도전으로 몰아치는 게 말이 되느냐"고 민주당을 비판했다.

여야정 민생경제협의체 구성 논의가 지연되는 데 대해서도 화살은 여당을 향했다. 송 원내대표는 "다행히 이틀 전에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만나서 '여야 민생협의체' 구성에 합의했으니 이제 남은 것은 실천"이라며 "국민의힘은 협치할 준비가 돼 있고, 어떤 선택을 하느냐는 '집권여당'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과 야당은 민생과 협치 분위기를 위해 한발씩 물러설 준비가 돼 있지만, 여당의 '쟁점입법 속도전' 강경 일변도가 이를 방해하고 있음을 부각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송 원내대표는 다만 이재명 정부의 국정운영 자체에 대한 비판도 있지 않았다. 그는 내일 정부 출범 100일을 맞는 것과 관련해 "한마디로 '혼용무도', 어리석은 군주가 세상을 어지럽게 만든 시간이었다"고 혹평했다.

송 원내대표는 "정치특검은 야당 탄압을 통한 정치보복에 매진하고, 온갖 반기업·반시장 정책은 경제와 민생을 무너뜨리고, 허상에 사로잡힌 굴욕적 저자세 대북 정책으로 안보는 해체되고 있다"며 인사 참사·대미외교 실패 등을 포함해 정부의 국정운영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민주당은 연설 내내 고성과 야유로 맞섰다. 특히 송 원내대표가 "국민의힘은 협치할 준비가 돼 있다. 어떤 선택을 하느냐는 집권여당에 달려있다"고 강조하자 "사과부터 하라"고 맞받았다.

/유범열 기자(heat@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협치, 여당에 달렸다"…대통령 빗겨 '정청래' 겨눈 송언석[종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