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경제협력 특사로 임명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19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서 독일 프랑크푸르트 출국에 앞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5.10.19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cdef1827b005e1.jpg)
[아이뉴스24 문장원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전략경제협력 대통령 특사'로 임명된 강훈식 비서실장이 19일 유럽으로 출국하며 "추진되고 있는 사업의 모든 수주는 어렵겠지만 수주량을 늘리는 것이 이번 방문의 목표"라고 밝혔다. 이례적으로 대통령 비서실장을 전략경제협력 특사로 임명하며 주요 국부 창출 통로의 하나인 방산 수출 지원을 이 대통령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강 실장은 이날 인천국제공항에서 유럽 국가들과 방산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독일로 출국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방산 4대 강국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실천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강 실장은 "초대형 방위 사업의 경우에 단순히 국방부의 노력만으로 되지 않는다는 것이 저희 내부적 결론이었다"며 "금융지원, 산업 협력 그리고 방산 스타트업의 협력에 이르기까지 많은 분야의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부 창출에 조금이라도 기여한다는 마음으로 이번 출장을 마치고 돌아오겠다고 국민 여러분께 보고드리겠다"고 덧붙였다.
또 강 실장은 "방위산업은 파급력이 막강하고 어마어마하다. 군함 한 척을 대기업이 수주할 경우에 300개 이상의 1차 협력업체가 고용 창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며 "대부분의 그런 업체들이 비수도권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우리 정부는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 문제를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단순히 수출 확정을 위해서 방문하는 것뿐만 아니라 향후에 여기에 지원된 내용들이 국민에게 다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개선 노력도 함께 할 계획"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 17일 이 대통령은 강 실장을 '전략경제협력 대통령 특사'로 임명했다. 대통령 비서실장이 특정 산업 분야 지원을 위해 특사로 임명되는 건 매우 이례적으로, 방산 수출 지원에 대통령실이 직접 주도권을 쥐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강유정 대변인은 강 실장 임명에 대해 "이재명 정부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방산 4대 강국 구현을 위해 대통령실 전체를 아우르는 ‘방산 컨트롤타워’를 구축하고, 수출 지원 방안을 포함한 방위산업 발전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며 "대통령은 방산 수출 대상국과 안보와 경제, 전방위적인 지원방안을 책임성 있게 논의할 수 있도록, 대통령실 전체를 대표하는 강 실장을 특사로 임명했다"고 설명했다.
강 실장도 "국부 창출에 기여하는 작은 노력이라도 필요하다면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단순하게 군사 협력만으로 이뤄지는 것이 방위산업 수출은 아니다. 기업의 산업 협력과 그리고 수출 금융 지원이라는 문제 더 나아가서 한국의 미래 먹거리가 될 수 있는 방산 스타트업을 협력하는 문제도 다 엮여 있기 때문에 대통령 특사로서 비서실장이 참석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의 당부가 있었나'라는 질문엔 "국부 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작은 노력이 필요하다면 응당 가야 된다고 말씀하셨다"며 "미래 먹거리를 위해서 조그마한 힘이라도 보태서 나라의 국부 창출에 기여하는 방향을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강 실장은 유럽 내 방산 협력 대상 국가를 방문해 이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할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까지 3차례에 걸쳐 전략경제협력을 위한 특사 임무를 수행한다. 강 비서실장이 방문 예정인 국가들과 추진하고 있는 방산 제품 도입 규모는 총 562억 달러(약 79조 원) 수준에 달한다.
특히 강 실장의 이번 유럽 방문은 폴란드 해군이 추진 중인 신형 잠수함 3척 도입 사업, '오르카 프로젝트'를 정부 차원에서 지원하기 위한 조치로 알려였다.
강 실장은 "유럽에 있는 막강한 강대국들과 경쟁하러 나가는 것"이라며 "구체적인 어느 나라와 경쟁한다고 말씀드릴 수 없는 점과 방문 일정 모두를 밝힐 수 없다는 점은 경쟁하는 상대국들이 있기 때문에 국익을 위해서 말씀드리지 않는 것이 옳은 판단이다. 여러분들의 이해를 바란다"고 했다.
앞서 강 대변인은 "우리나라와 방문국 사이 추진 중인 초대형 방산 무기 도입 사업의 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주요 결정이 임박한 상황이기에 서둘러 방문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한 바 있다.
/문장원 기자(moon3346@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