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효정 기자] 주택 수요자 10명 중 5명은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만에 상승 전망 비율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세가격 또한 수요자의 절반 이상이 오를 것으로 내다보는 등 주택시장 참여자들의 불안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10명 중 5명이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격 상승을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중랑구 면목동 용마산에서 바라본 서울 전경. [사진=이수현 기자]](https://image.inews24.com/v1/9f6f6fb26c09ec.jpg)
이 같은 인식은 부동산R114가 지난달 22일부터 지난 2일까지 전국 1458명을 대상으로 '2026년 상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서 확인됐다. 부동산R114의 설문조사는 지난 2008년부터 매년 2회씩 진행되며, 이번 설문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 ±2.57%포인트(p)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절반을 초과한 52%가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1년 하반기 전망 조사에서 상승 전망이 62%를 기록한 이후 5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직전 조사 대비 상승 전망이 3%p, 하락 응답이 1%p 모두 늘어났지만 상승과 하락 사이의 응답 비중 편차는 3.7배 수준으로 크게 벌어졌다.
정부의 10·15대책에도 아직은 소비자의 시장 인식에 큰 변화가 없다는 의미다.
![10명 중 5명이 내년 상반기 주택 매매가격 상승을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중랑구 면목동 용마산에서 바라본 서울 전경. [사진=이수현 기자]](https://image.inews24.com/v1/d9859c268991b5.jpg)
매매 가격 상승 응답자의 다수는 ‘핵심 지역의 아파트 가격 상승(35.37%)’을 원인으로 보고 가격이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어 △기준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12.63%) △서울 등 주요 도심의 공급부족 심화(10.90%) △정부의 주요 규제에 따른 매물잠김(8.91%) △급매물 위주로 실수요층 유입(8.78%) △대출 규제에 따른 풍선효과 영향(6.52%) 등을 집값 상승 원인으로 꼽았다.
부동산R114는 "정부의 6·27대책부터 최근 10·15대책까지 다양한 수요 억제 조치에도 서울 주요 아파트와 수도권 핵심 지역 중심으로 신고가 현상이 이어지면서 수요층의 불안심리가 반영된 결과"라며 "기준금리가 최근 동결 기조에 인하 사이클은 계속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형성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반대로 매매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응답자 10명 중 4명은 ‘대출 규제로 매수세 약화(38.16%)’를 이유로 선택했다. 가계부채 관리 목적성이 강한 대출 규제 강화 조치가 현 정부의 6.27대책과 10.15대책을 통해 규제지역이 대거 확대되면서 주택담보대출 승인 절차가 매우 까다로워졌기 때문이다. 이어 하락 요인으로 △경기 침체 가능성(15.94%) △대출 금리 부담 영향(10.63%) △가격 부담에 따른 수요 감소(8.21%) △투기과열지구 등 규제지역 확대 영향(7.25%) 등을 꼽혔다.
내년 상반기 주택 전세 가격이 상승할 것이란 응답은 57.75%로 하락 응답 9.26%보다 6.2배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월세 가격 전망은 상승 응답이 60.91%, 하락 응답이 5.28%로 11.5배나 차이가 벌어졌다.
부동산R114는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세물건 부족 현상들이 심화되는 것은 물론 대출규제 강화로 전세의 월세화가 동반되고 있어 신축 물건이 부족한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전∙월세 가격의 추세적 상승이 예상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전세 가격이 오른다고 응답한 842명 중 34.80%는 매수심리 위축으로 전세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강화된 대출규제로 인해 위축된 매수심리가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를 늘려 가격 상승 압박을 높인다는 의미다. 또한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전세물건 공급 부족(23.75%) △서울 등 주요 인기 지역의 입주물량 부족(14.73%) △청약을 위한 일시적 전세 거주 증가(9.74%) 등이 전셋값 상승의 원인으로 꼽혔다.
전세 가격 하락 전망을 선택한 경우는 ‘정부의 전세시장 안정대책 효과(23.70%)’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이외에도 △임대인의 임차보증금 반환(역전세) 리스크(20.74%) △전세대출 부담감에 따른 월세시장 이탈(13.33%) △일부 지역의 입주물량 증가(12.59%) △전세보증(보험, 대출) 가입 요건 강화 영향(11.11%) 등이 전세 가격 하락에 대한 주요 이유로 선택됐다.
응답자들은 내년 부동산 시장 핵심 변수로 ‘대출, 세금 등 부동산 규제 환경 변화 여부(17.01%)’를 꼽았다. 올해 새 정부 출범으로 대출과 세금 등 정책 기조에서 앞으로도 많은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 외 주요 변수로는 △현 정부의 대규모 주택공급(택지개발) 정책(12.28%) △민간소비 등 국내 실물 경기지표 변화(8.85%) △전월세가격 등 임대차 시장 불안 지속 여부(8.57%) △물가상승(인플레이션)(7.48%) △정부의 규제지역 확대 여부(6.86%) 등이 있었다.
/이효정 기자(hyoj@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