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최란 기자] 중국이 조선산업 환경·사회·지배구조(ESG)를 국가 차원의 표준 경쟁으로 접근하고 있어 한국의 전략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심정은 HD한국조선해양 ESG기획부문 상무는 18일 국회에서 열린 '조선해양산업 ESG 규제대응 및 공급망 강화방안 토론회'에서 "중국은 조선업 ESG 대응을 표준 경쟁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국제해사기구(IMO) 전생애주기평가(LCA) 워킹그룹에 중국은 국가 대표 한 명이 나온 반면, 한국은 조선협회가 공식적으로 빠지고 각 사별로 대표가 한 명씩 들어가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심정은 HD한국조선해양 ESG기획부문 상무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조선해양산업 ESG 규제대응 및 공급망 강화방안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https://image.inews24.com/v1/5442222eeb151c.jpg)
심 상무에 따르면 환경 정보 규제가 강화되면서 조선 산업 역시 친환경 정보와 평가기준에 대한 표준화 선점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그는 "2023년 12월 중국 정부가 발표한 '조선 제조업 녹색 발전 혁신 계획'은 2030년까지 중국의 친환경 기술 기자재 공급망을 전면 개편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며 "중앙정부가 기술 기준과 평가 체계를 사전에 정비하고 플랫폼을 구축한 뒤 공급망 탄소 배출 식별 및 개선을 의무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선 기자재 소재 부품부터 항만 항해 기술까지 산업 전반을 국가 기준에 따라 운영시키고 이를 플랫폼화해 평가 기준에 따라 보조금과 조달 지원, 공공 프로젝트 연계가 종합적으로 적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과거 미국과 일본에서 조선 산업 주도권을 가져올 때와는 다른 엄청난 당면 과제가 있다"며 "이번에는 국제 표준, 기술 조건, 공급망 요구, 정책 기준까지 완전히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하면서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정은 HD한국조선해양 ESG기획부문 상무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조선해양산업 ESG 규제대응 및 공급망 강화방안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https://image.inews24.com/v1/c291f4586b32c0.jpg)
윤영진 상명대학교 교수는 "조선업 ESG 대응의 핵심 과제는 조선 산업에 적합한 공정 단위 측정 지표를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라며 "현재 조선업에 특화된 지표나 공정에 적합한 측정 방식, 데이터 추출 구조가 미비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윤 교수는 "평가 항목들이 표준화되지 않아 기업마다 상이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ESG 지원 시스템이 부족하다"며 "특히 중소·중견기업은 다양한 문서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ESG는 공급망 전체 이슈를 다루고 있어 기업 혼자 해결하기 어렵다. 정부가 민간이 효과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구조에서 지원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조선 산업에 적합한 공정 단위 측정 지표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 마련,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문서화 및 공시 체계 지원, 효과적인 데이터 기반 디지털 추적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심정은 HD한국조선해양 ESG기획부문 상무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조선해양산업 ESG 규제대응 및 공급망 강화방안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https://image.inews24.com/v1/3b8d35a8a16d31.jpg)
이날 토론에 참석한 류희진 HD현대중공업 상무도 "공급망 ESG 정보가 연결 기준으로 들어와야 국제사회에서 경쟁력을 갖고 선제적으로 플랫폼을 구축했을 때 우리 데이터를 모두 확보할 수 있다"며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류 상무는 "하나의 통일된 평가 체계와 플랫폼이 있어서 원스톱으로 끝낼 수 있는 체계가 있다면 협력회사 입장에서는 분명히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는 민간 기업 자체만으로는 어렵고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추동력을 가져야만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김도완 한화오션 전무는 "중국의 거대한 도전에 직면해 원가 경쟁력이 열악한 상황에서 비용 상승 요인에 대해 기업들이 민감할 수밖에 없다"며 "중소기업들이 ESG를 시행해야 하는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전무는 "중국이 막대한 보조금으로 경쟁력을 올린 것처럼 우리나라도 ESG 영역에서 잘했을 때 인센티브나 보조금 등의 메리트를 줄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며 "기업들이 주도적으로 필요성에 의해 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란 기자(ran@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