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서효빈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10일 '불법스팸 대응 민·관 협의체 제3차 전체회의'를 열고 '불법스팸 종합대책'의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 종합대책 발표 이후 해외에서 유입되는 스팸이 79% 감소했다는 성과도 공개됐다.
![방송통신위원회 신영규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앞줄 왼쪽에서 다섯번째)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도규 통신정책관(앞줄 왼쪽에서 네번째)이 10일 서울에서 열린 '불법스팸 대응 민관협의체 3차 전체회의'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방송통신위원회]](https://image.inews24.com/v1/fca08c6a34bcf3.jpg)
이날 회의에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경찰청 등 관계부처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이동통신사, 스마트폰 제조사, 대량문자 사업자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과기정통부는 △위조·변조된 번호로 발송되는 문자 차단 시스템 도입 방안 △스마트폰 악성코드 실행방지 기능의 전면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방통위는 △전송자격인증제 도입 관련 입법 추진 현황 △문자중계사 중심의 악성스팸 감소 △AI 기반 스팸 차단 적용 사례 등을 공유하며 종합대책 세부 과제의 추진 성과와 향후 방향을 논의했다.
KISA는 번호도용 문자차단 서비스 가입자가 지난해 6월 287만 명에서 올해 6월 827만 명으로 약 3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개인의 휴대전화번호가 스팸 발신번호로 도용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이다. 또 종합대책 발표 이후 해외발 스팸이 79% 감소하는 성과도 함께 소개했다.
국제문자중계사 A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불법스팸 차단율을 지난 4분기 12%에서 올해 2분기 26%까지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이동통신 3사는 AI 기술을 활용한 스팸 차단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도규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민·관 협의체 참여 기관과 통신사들이 AI 기술을 활용해 단기간 내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민·관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각 과제가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신영규 방통위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AI 필터링 강화, 악성문자 수신 이용자 대상 대응요령 안내 등 사전·사후 보호조치가 더욱 중요하다"며 "특히 정부가 추진 중인 소비쿠폰 사업을 악용한 스팸·스미싱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민·관 참여기관의 협력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서효빈 기자(x40805@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