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최태원 "글로벌 시장서 승리할 '소버린 AI' 구축"


2025 이천포럼 개최…최태원 "AI, 중요한 건 국내 아닌 글로벌 경쟁"
곽노정 "SK 원팀 정신·과감한 투자 없었다면 HBM 신화 없었을 것"
전문가들 "공급망 재편, 위기지만 오히려 새로운 기회 포착할 수도"

[아이뉴스24 이한얼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글로벌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소버린 AI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최 회장은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에서 취재진과 만나 "세계 시장에서 이길 수 있는 소버린 AI를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최태원 SK 회장이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에 참석해 발제를 청취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최태원 SK 회장, 김선희 SK㈜ 이사회 의장, 최재원 SK 수석부회장, 김용학 SK텔레콤 이사회 의장) [사진=SK]
최태원 SK 회장이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에 참석해 발제를 청취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최태원 SK 회장, 김선희 SK㈜ 이사회 의장, 최재원 SK 수석부회장, 김용학 SK텔레콤 이사회 의장) [사진=SK]

최 회장은 또 "소버린 AI에 대한 여러 선택의 갈림길이 있지만 중요한 점은 (경쟁을) 국내에서 하는 것이 아닌 글로벌 전쟁이라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소버린 AI’는 국가가 자국의 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자율적으로 통제·운영하려는 전략을 의미한다.

최 회장은 이날 오전 기조연설로 진행된 '미국 주도의 국제 질서 재편, 한국기업의 해법 모색' 세션에서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은 전략적(Strategic) 관점에서는 상당히 예측 가능하지만 전술적(Tactical) 관점에서는 예측 불가능하다는 말이 가장 기억에 남았다"고 했다.

개회사를 맡은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SK그룹의 미래에 대한 혜안이 AI 메모리 시장에서 성공신화를 만들었다고 자평했다.

그는 "아사 직전까지 갔던 회사가 SK를 만나면서 세계 최초 HBM 개발, 글로벌 D램 시장 1위, 시총 200조원 달성 등 도약을 이뤄냈다"며 "이 모든 기적 같은 일들은 2012년 SK하이닉스가 SK그룹을 만났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평가했다.

최태원 SK 회장이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에 참석해 발제를 청취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최태원 SK 회장, 김선희 SK㈜ 이사회 의장, 최재원 SK 수석부회장, 김용학 SK텔레콤 이사회 의장) [사진=SK]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이 18일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이천포럼 2025'에서 개막 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SK]

그러면서 "SK의 원팀 정신과 과감한 투자,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이 없었다면 HBM 신화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개최된 이천포럼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미중 패권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이 변화하는 국제 질서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논의가 이어졌다.

첫 세션은 ‘미국 주도의 국제 질서 재편, 한국 기업의 해법 모색’을 주제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와 징 첸 아시아소사이어티 정책연구소 중국분석센터장이 온라인으로 참석해, 트럼프 행정부 이후 급변한 외교 질서 속에서 한국의 외교 및 경제 전략 방향을 조망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는 윤치원 SK㈜ 사외이사, 김현욱 세종연구소장, 박석중 신한투자증권 부서장이 참여했다. 패널들은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들이 유지해온 전략적 모호성이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하면서도, “공급망 재편이라는 글로벌 흐름 속에서 오히려 새로운 기회를 포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윤 이사는 SK그룹의 리밸런싱 전략과 관련해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는 ‘가격 최적화’보다 ‘시간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빠르게 포트폴리오 조정을 마무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AI 분야는 막대한 자본이 필요한 영역인 만큼, 독자 개발보다는 개방형 혁신과 외부 협력에 기반한 실행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한국 AI 비즈니스, 생태계 구축과 SK의 전략적 역할’을 주제로 한국 AI 산업의 생존 전략과 기업 역할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다. 세션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출신의 AI 컨설팅사 딕비(DigBI) 컨설팅의 윌리엄 퐁 최고전략책임자(CSO)와 실리콘밸리 기반 협업툴 스타트업 스윗(Swit)의 이주환 대표가 참석했다.

퐁 CSO는 “SK그룹은 각 산업에서 경쟁력을 가진 계열사들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AI 생태계의 ‘오케스트레이터(지휘자)'가 돼야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빅테크와의 직접적인 경쟁보다는,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조율하고 연결하는 방식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제언했다.

SK그룹은 반도체(SK하이닉스), 통신(SK텔레콤), 에너지(SK이노베이션·SK온) 등 핵심 인프라를 기반으로 산업 전반에 걸친 AI 생태계 구축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패널들은 AI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공공과 민간이 공동 참여하는 실질적 로드맵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부 차원의 정책 조율과 민간의 실행 역량이 결합돼야 경쟁력 있는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사흘 일정으로 막을 올린 '이천포럼 2025'는 오는 19일 각 멤버사별 워크숍을 통해 운영개선과 '지속가능한 행복' 등 SKMS (SK Management System) 실행력 강화 방안을 논의한다.

마지막 날인 20일에는 SK서린사옥에서 최태원 회장 및 CEO들과 SK 구성원들이 함께 포럼 성과를 돌아보는 시간이 마련된다.

/이한얼 기자(eol@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최태원 "글로벌 시장서 승리할 '소버린 AI' 구축"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