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정부가 고강도 수요 억제 정책을 내놨지만 서울에선 30대를 중심으로 주택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성동구와 마포구, 강동구 등 한강변을 중심으로 거래가 늘어난 가운데 업계에서는 실거주 수요가 시장에 유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대출규제 강화 속에서도 30대 계층의 실거래는 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강동구 고덕동 '고덕아르테온' 전경. 2025.9.15. [사진=이수현 기자]](https://image.inews24.com/v1/25159833677ab4.jpg)
16일 법원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8월 서울 집합건물(아파트·빌라·오피스텔 등) 매입에 따른 소유권이전등기 신청 건수는 1만6187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30대가 5321건으로 가장 많고 40대(4647건), 50대(2945건), 60대(1597건) 순이었다.
소유권이전등기 신청 건수는 6월 기록한 1만9941건 대비 3754건 줄었다. 이 중 30대는 6월 5889건에서 8월 5321건으로 비교적 감소폭이 작았다. 40대(6048건→4647건)와 50대(4198건→2945건)에서는 각각 1000건 이상 줄었다.
정부는 6·27대책을 발표하며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했다. 또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을 금지해 갭투자 차단에도 나섰다. 소득이 높더라도 현금을 보유하지 못한 경우 주택 구매가 이전보다 더 어려워지게 된 것이다.
이런 가운데서도 30대 계층의 주택 매입 수요는 견조한 것으로 나타난 셈이다. 특히 주택 가격이 크게 높지 않은 지역 중 학교·지하철이 가까운 대규모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몰렸다.
마포구(327건→362건)와 강동구(339건→356건) 등에서 6·27대책 시행 직전인 6월보다 8월 소유권이전등기 신청건수가 더 늘었다. 성동구는 6월 410건에서 8월 403건으로 7건 줄어든 정도였다. 동 단위로 좁게 들여다 보면 행당동(71건)과 강동구 암사동(67건), 고덕동(62건) 마포구 아현동(52건) 등에서 매매 거래가 활발했다.
이들 지역에서는 가격 상승세도 뚜렷하다. 지하철 5호선 행당역 도보권에 행현초가 도보권인 행당대림은 지난 4일 전용 59㎡가 13억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지하철 5·8호선이 가깝고 명덕초와 인접한 강동롯데캐슬퍼스트는 지난 3일 전용 59㎡가 신고가인 15억3000만원에 거래됐다. 지하철 5호선 상일동역 인근에 고일초를 품고 있는 고덕자이 또한 59㎡가 신고가인 14억9500만원에 손바뀜했다.
강동구 고덕동에서 근무하는 공인중개사 A씨는 "대출규제 이후 전체적인 거래량이 줄었지만 매물도 함께 감소해 호가가 1억~2억원 정도 올랐다"면서 "학교가 가깝고 광화문과 강남 등 주요 업무지역을 빠르게 오갈 수 있어 어린 자녀를 둔 고객들 문의가 많다"고 설명했다.
고덕동에서 근무하는 또 다른 공인중개사 B씨는 "고덕동은 서울 외곽이라 번잡하지 않은 점이 장점"이라면서 "대단지라 환금성이 좋고 학원가도 인근에 있어 자녀를 키우는 부모들에게 인기가 많다"고 설명했다.
![대출규제 강화 속에서도 30대 계층의 실거래는 견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강동구 고덕동 '고덕아르테온' 전경. 2025.9.15. [사진=이수현 기자]](https://image.inews24.com/v1/6895abc9f6f531.jpg)
전문가들 또한 정부가 대출규제를 시행한 후 실수요자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부가 고강도 대책을 내놓은 이후 주택 매수를 고민하던 수요가 실제 매수에 나섰다는 의견도 나온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30~40대는 소득이 본격적으로 상승하는 연령대인 만큼 자녀 교육 등을 고려해 적극적으로 주택을 매입한다"며 "공급 물량이 줄어들고 청약 경쟁률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어 주택 매수를 결정한 수요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