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나노플라스틱이 파킨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노플라스틱은 미세플라스틱보다 더 작다.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장 이진경) 김진수 박사 연구팀이 동물실험을 통해 나노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보다 파킨슨병과 비슷한 뇌 손상과 신경 염증을 눈에 띄게 더 유발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최근 플라스틱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관련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연구팀은 앞서 나노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보다 뇌에 더 쉽게 축적된다는 사실을 규명한 바 있다.
![동물실험 결과, 미세보다 더 작은 나노플라스틱이파킨슨병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한국원자력의학원]](https://image.inews24.com/v1/a1ac5294871b04.jpg)
이번 연구는 이러한 선행 결과를 바탕으로 나노플라스틱이 파킨슨병 발병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지 규명하기 위해 수행됐다.
연구팀은 합성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스틸렌을 직경 0.25마이크로미터(µm) 미세플라스틱과 이보다 12.5배 작은 20나노미터(nm) 나노플라스틱 형태로 준비하고 방사성동위원소 구리-64를 표지해 실험쥐 기도에 투여했다.
그 뒤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을 통해 뇌 속 플라스틱의 축적 위치와 양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파킨슨병과 관련된 뇌 영역인 선조체(몸의 움직임을 조절)와 흑질(뇌간 안쪽)에서 나노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보다 2~3배 더 많이 축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을 각각 하루 20마이크로그램(µg)씩 16주 동안 에어로졸 형태로 실험 쥐에게 흡입시키며 운동·행동 변화, 염증 발생 및 유전자 변화를 비교 분석했다.
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쥐는 미세플라스틱 노출군과 비교했을 때 로타로드 회전봉 검사에서 체류 시간과 악력이 1.6배(약 40%) 감소했다. 트레드밀 검사에서는 피로 도달 시간이 1.4배 단축돼 파킨슨병과 비슷한 운동 장애를 보였다.
탐색 행동 감소와 함께 불안 증상이 2배 증가했으며, 우울증 경향이 1.5배 증가하는 등 비운동 증상도 나타났다.
뇌 조직 분석 결과 나노플라스틱은 도파민 신경세포 손상을 1.4배, 파킨슨병의 핵심 단백질인 인산화 알파시누클레인 축적을 1.9배 높였다. 이와 함께 별세포와 미세아교세포 활성,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1.8~3배 상승해 뇌 염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동물실험 결과, 미세보다 더 작은 나노플라스틱이파킨슨병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진=한국원자력의학원]](https://image.inews24.com/v1/7be1cbe3de8b7d.jpg)
이번 연구로 연구팀은 나노플라스틱이 미세플라스틱보다 뇌 침투력이 높고 도파민 신경과 뇌 염증을 악화시켜 파킨슨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김진수 박사는 “현재 미세먼지에 대해서는 국제적으로 엄격한 기준이 있는데 미세·나노플라스틱은 관리체계가 없는 실정”이라며 “앞으로 다양한 플라스틱 입자 조합, 실제 환경 시료, 인체 역학 연구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공기 중 미세·나노플라스틱 관리 기준 마련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성과(논문명: 논문명: Nanoplastics Cause an Increased Risk of Parkinson’s Disease Compared to Microplastics at Environmental Exposure Levels)는 국제 학술지 ‘유해물질 연구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Advances)’ 11월 13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