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유림 기자] 네이버가 댓글 좌표찍기, 공감·비공감 조작 등 어뷰징(남용)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악성 댓글 지수를 포함한 댓글 서비스 개선안을 추진한다.
![네이버 사옥 전경 [사진=네이버]](https://image.inews24.com/v1/59253e2f5f5729.jpg)
13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문체위) 소속 양문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네이버로부터 제출 받은 뉴스 댓글 서비스 개선안에 따르면 네이버는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타인의 명예나 사생활, 초상권 등을 침해하는 게시물에 대해 게시 중단 요청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월 평균 1만5000건~2만건의 콘텐츠를 임시 조치(삭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남성연대, 리박스쿨 등 댓글 조작 세력의 좌표찍기와 같은 인위적 여론 조작 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대통령 선거를 앞둔 지난 4월부터 이용자 반응 급증 감지 시스템을 도입해 최근까지 약 60건의 이상 반응을 탐지했다.
네이버는 이와 관련해 정치 섹션으로 분류된 기사에 대해 댓글 영역을 비활성화하고 이용자가 '전체 댓글 보기' 또는 '언론사 댓글로 이동'을 선택해야만 댓글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여기에 더해 공감·비공감 트래픽이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댓글 목록을 자동으로 비활성화하는 기능을 추가하고 댓글 정렬 방식을 최신순으로 제한하는 정책을 9월부터 적용했다. 향후 악성 댓글 지수 제도를 도입해 지수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자동으로 댓글창을 비활성화하거나 노출 방식을 제한하는 시스템 구축도 추진 중이다.
이 같은 정책은 일본 야후재팬이 2021년 10월부터 시행 중인 인공지능(AI) 기반 악성 댓글 점수화 제도를 모델로 한 것으로, 점수가 일정 기준을 넘어서면 해당 기사의 댓글창을 자동으로 닫는 방식이다.
양 의원은 "탄핵과 대선 과정에서 드러난 신남성연대, 리박스쿨 등의 댓글 조작 세력은 명백히 민주주의를 교란한 범죄 세력"이라며 "국민 여론이 특정 세력의 좌표찍기에 휘둘리는 현실을 방관해서는 안 된다. 네이버는 국가의 대표 포털로서 건전한 여론 형성과 민주주의 수호에 걸맞은 책임과 의지를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양 의원은 이번 국정감사에서 네이버 뉴스 서비스 정책을 점검하기 위해 뉴스 서비스를 총괄하는 김수향 전무를 증인으로 신청했으나 네이버가 댓글 서비스 개선을 약속한 만큼 증인 신청을 철회하겠다고 밝혔다.
/정유림 기자(2yclever@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