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치킨 30% 할인"⋯'땡겨요' 많이 쓸까


서울시, 주요 치킨사 18곳과 '서울배달+가격제' 도입
긍정론 vs 회의론 공존⋯입점사 부족문제 해소 필요
할인 치중 정책방향에 대한 아쉬움의 목소리도 나와

[아이뉴스24 전다윗 기자] 서울시와 국내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가 공공 배달앱 '땡겨요'에 도입할 예정인 '서울배달+가격제'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고 있다. 공공 배달앱이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배달시장에 지각변동을 일으킬 것이란 긍정적 관측과, 여전히 할인 혜택에만 치중한 정책에 대한 아쉬운 목소리가 공존하는 상황이다.

지난 25일 서울시와 치킨 프랜차이즈 18곳이 땡겨요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약을 맺었다. [사진=서울시]
지난 25일 서울시와 치킨 프랜차이즈 18곳이 땡겨요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약을 맺었다. [사진=서울시]

28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 25일 공공 배달앱 '땡겨요' 활성화를 위해 서울시, 신한은행, 치킨 프랜차이즈 본사가 각각 할인 비용을 분담해 소비자 가격을 낮추는 서울배달+가격제를 본격 도입한다고 밝혔다. △bhc △BBQ △굽네치킨 △자담치킨 △네네치킨 △노랑통닭 △처갓집양념치킨 △맘스터치 △가마로강정 △바른치킨 △보드람 △꾸브라꼬 △치킨마루 △티바두마리치킨 △푸라닭 △호치킨 △60계 △걸작떡볶이치킨 등 국내 18개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

서울배달+가격제는 협약기관인 서울시, 땡겨요 운영사 신한은행, 프랜차이즈 본사가 각각 가격을 분담해 가격을 낮추는 구조다. 소비자가 땡겨요로 주문할 때 서울시가 배달전용상품권(15%), 신한은행이 땡겨요 할인쿠폰(5%), 치킨 프랜차이즈가 본사 프로모션(10%) 등을 지원해 최대 30%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구체적 시행 시기와 분담 비율 등은 서울시와 치킨 프랜차이즈가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세부 내용을 협의한 후 추진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공공 배달앱의 약점으로 꼽히던 가격 경쟁력과 입점 업체 부족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공 배달앱은 낮은 중개 수수료로 입점 점주 입장에선 '착한 플랫폼'이지만, 정작 이용하는 소비자 입장에선 매력이 없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유료 멤버십 등을 가입하면 무료 배달 혜택을 받는 민간 배달앱과 달리, 공공 배달앱에선 점주들이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배달비를 부과하는 경우가 많아 총 주문 금액은 오히려 더 비싼 사례가 비일비재했기 때문이다. 서울배달+가격제가 적용될 경우 배달비를 더해도 민간 배달앱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치킨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입점 업체도 대폭 늘어난다. 참여 의사를 밝힌 18개 치킨 프랜차이즈의 가맹점만 1만4000여 곳에 달한다. 교촌치킨 등 아직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은 프랜차이즈까지 합하면 가맹점 수는 더 늘어난다. 배달 시장에서 치킨이 차지하는 위상을 고려할 때, 단순히 숫자 이상의 효과가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치킨 업종은 배달앱 전체 주문의 약 39%를 차지할 정도로 소비자 수요가 높다.

지난 25일 서울시와 치킨 프랜차이즈 18곳이 땡겨요 활성화를 위한 상생협약을 맺었다. [사진=서울시]
땡겨요 [사진=신한은행]

다만 여전히 회의적인 목소리도 적지 않다. 현재 땡겨요 등 12개 공공 배달앱의 점유율은 3% 수준에 불과할 만큼 이용률이 낮다. 부산 '동백통', 강원도 '일단시켜', 대전 '휘파람' 등 13개 공공 배달앱은 이용률 저조로 서비스를 종료한 상태다. 단순히 가격 경쟁력이 낮아서만은 아니다. 불편한 앱 인터페이스, 할인 혜택을 오롯이 받으려면 지역화폐·상품권 구매가 필수적인 점 등 소비자 편의성이 떨어지는 점이 고질적 단점으로 지목된다.

점주들의 실질적인 동참도 이끌어 내야 하는 점도 과제다. 서울배달+가격제의 효과가 극대화되려면, 결국 점주들이 공공 배달앱의 낮은 중개 수수료를 반영한 '착한 가격'을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처럼 민간 배달앱과 동일한 수준의 가격에 높은 배달비를 적용할 경우, 소비자 입장에선 굳이 익숙하지도 않은 공공 배달앱을 사용할 이유가 없어진다.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서울시가 직접 나서 공공 배달앱 활성화에 나서는 것만으로도 긍정적인 첫걸음이라고 본다"면서도 "이전부터 공공 배달앱 활성화를 위한 정책이 추진되곤 했지만 금방 유명무실해졌다. 배달 시장 균형이 맞춰지도록 연속적으로 정책이 이어졌으면 한다. 참여 주체들의 진정성 있는 시행도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할인 혜택을 언제까지 지속할 수 있을지도 생각해 볼 지점이다. 결국 치킨 가격을 국민 세금과 공공 배달앱·프랜차이즈 본사의 프로모션으로 지원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이은희 인하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는 "그간 정부는 공공 배달앱 활성화를 명목으로 세금을 지속적으로 투입해 왔다. 지금까지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다름없었다"며 "굳이 세금을 써야 한다면 자영업자에게 지원하기로 한 혜택과 비용 일부를 소비자에게 돌리는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전다윗 기자(david@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치킨 30% 할인"⋯'땡겨요' 많이 쓸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