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韓中日 기업들 "내년 매출 4~7% '뚝'…美 관세 탓"


한경협, 美 관세 정책 등에 관한 한·중·일 설문조사

[아이뉴스24 박지은 기자] 한·중·일 제조 기업들이 미국발(發) 관세 정책의 여파로 내년 매출이 4~7%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30일 최근 3국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 303개사를 대상으로 '미국 관세 정책 등에 관한 한·중·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업들은 미국의 품목별·상호 관세 조치가 본격화될 경우 내년도 매출액이 평균 4~7%가량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30일 한·중·일 기업을 대상으로 관세 영향에 따른 내년도 경영 전망을 조사했다. [사진=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인협회는 30일 한·중·일 기업을 대상으로 관세 영향에 따른 내년도 경영 전망을 조사했다. [사진=한국경제인협회]

내년 매출 감소 예상치(평균)는 한국 기업 -4%, 중국 기업 -6.7%, 일본 기업 -7.2%였다.

한경협은 "업종에 따라 차이는 있었지만 △반도체·전자 △자동차·자동차부품 △기계 및 산업장비 △철강 및 금속제품 등 주력 수출업종에서 5~10% 매출 타격을 입을 것이란 응답 비중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기계 및 산업장비가 -12.2%, 중국은 철강 및 금속제품이 -11.7%, 일본은 반도체·전자제품이 -10.4%로 각각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나타났다.

3국 평균에서는 철강 및 금속제품이 가장 큰 하락폭(-10.3%)을 보일 것으로 조사됐다.

트럼프 정부의 불확실한 정책에 대응해 투자 계획을 조정했냐는 질문에서 한국 기업은 '투자 계획 변경 없음'(74.3%)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일본 기업도 61.4%가 '변경 없음'을 선택했고, 중국 기업은 '변경 없음'(38.6%)과 '투자확대'(28.7%) 순이었다.

한경협은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고관세 압박에도 불구하고 투자 확대를 고려하는 배경으로 대규모 정부 보조금에 기반한 전략 기술 자립화 정책 지원, 위안화 약세에 따른 수출 경쟁력 회복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30일 한·중·일 기업을 대상으로 관세 영향에 따른 내년도 경영 전망을 조사했다. [사진=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인협회는 30일 한·중·일 기업을 대상으로 관세 영향에 따른 내년도 경영 전망을 조사했다. [사진=한국경제인협회]

한·중·일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과 일본 기업들의 우선순위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공통적으로 정부에 △세금 감면(한국 58.0%, 일본 41.0%) △재정 또는 보조금 지원(한국 58.0%, 일본 39.0%) △관세 감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한국 46.0%, 일본 58.0%) 등을 희망했다.

중국 기업은 한·일과 다르게 △신시장 개척 지원(60.0%) △관세 감축 외교 노력(58.0%) △국내 산업 투자(47.0%) 순으로 정부 역할을 주문했다.

/박지은 기자(qqji0516@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韓中日 기업들 "내년 매출 4~7% '뚝'…美 관세 탓"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