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네이버와 충돌?...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 "기술 국적보다 주도권 중요" [클라우드+]


최 대표, 소버린AI에 대해 "데이터 주도권을 누가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외산 기술에 국산 라벨 붙인 건 언어도단" 발언에 반박
'소버린AI' 해석 놓고 네이버클라우드와 KT클라우드 충돌 조짐

[아이뉴스24 윤소진 기자] ‘소버린AI’ 개념을 둘러싼 국내 대표 클라우드 기업 간의 신경전이 격화되고 있다. “외산 기술에 국산 라벨만 붙인 건 언어도단”이라며 비판한 네이버클라우드에 대해 KT클라우드가 “기술의 국적이 아닌, 데이터 주도권이 핵심”이라고 정면 반박하고 나섰다.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가 30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KT클라우드 서밋 2025' 행사장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가 30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KT클라우드 서밋 2025' 행사장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소버린AI는 '자주적인', '주권이 있는'이라는 의미의 소버린과 AI를 결합한 개념이다. 자체적인 데이터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국가나 기업의 문화나 가치관을 반영한 AI를 의미한다.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는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KT클라우드 서밋 2025’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소버린AI는 기술의 국적 문제가 아니다. 결국 데이터에 대한 주도권을 누가 가지고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지난 23일 공개 석상에서 “외산 기술에 이름만 바꿔 붙인다고 소버린이 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사실상 KT와 마이크로소프트(MS)의 협업 모델을 겨냥한 바 있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네이버클라우드가 데이터센터부터 AI모델, 검색·쇼핑 서비스까지 모두 자체 기술로 구현하는 ‘풀스택’ 체계를 갖춘 유일한 클라우드서비스사업자(CSP)라는 점을 강조했다.

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가 30일 오전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KT클라우드 서밋 2025' 행사장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역삼동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네이버클라우드의 소버린AI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윤소진 기자]

최지웅 대표의 이날 발언은 김유원 대표의 언급에 대한 반박으로 풀이된다. 최지웅 대표는 “AI는 결국 데이터 기반으로 작동하는 기술이며, 실제 이익과 효과성을 국민과 기업에게 얼마나 주느냐가 본질”이라며 “글로벌 기술을 수용하더라도 데이터와 보안의 주도권만 확보되면 소버린AI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소버린AI의 개념을 놓고 네이버클라우드와 KT클라우드가 정면 충돌한 것이다. 두 기업간 입장차는 '소버린AI'의 정의를 기술적 자립이냐, 데이터 주권이냐로 나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술 종속에 대한 위험성을 강조하면서 자체적으로 AI를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역량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한다. 그러면서 소버린 AI는 단순히 자국 언어를 이해하는 모델을 갖추는 것을 넘어, 그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운영할 수 있는 기술적·사업적 기반을 갖추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반면 KT클라우드는 실용성과 주도권을 내세우며 현실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KT는 MS와 협력해 공공부문 소버린AI·클라우드를 개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KT클라우드는 인프라와 데이터 관리 측면에서 국내 기술력을 제공하고 있다. 소버린AI에서 국내 기술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더 효율적이라면 글로벌 기업의 선진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도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AI소버린에 대해 명확하게 개념을 규정할 수 없는 상황에서 대표적인 국내 기업이 정면 충돌한 것은 그만큼 경쟁이 치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다만 개념에 대한 해석 차이를 넘어 소모적인 감정 싸움으로 번지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말해다.

/윤소진 기자(soji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네이버와 충돌?...최지웅 KT클라우드 대표 "기술 국적보다 주도권 중요" [클라우드+]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