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5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과 새 정부 출범 기대감 속 전국 분양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9.3포인트(p) 상승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709ea7fdec1d70.jpg)
8일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에 따르면 5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국 평균 9.3p 상승한 93.3을 기록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7.4p(99.7→107.1) 상승 전망됐으며, 비수도권은 9.7p(80.6→90.3) 상승 전망됐다.
수도권에서는 서울(108.3→122.2, 13.9p↑), 경기(97.3→102.8, 5.5p↑), 인천(93.3→96.4, 3.1p↑) 모두 상승 전망됐다.
비수도권에서는 충북 33.3p(66.7→100.0), 세종 29.7p(84.6→114.3), 전북 18.2p (81.8→100.0), 충남 15.4p(92.3→107.7), 전남 10.9p(58.3→69.2), 강원 10.0p (70.0→80.0), 대구 8.3p(70.0→78.3), 경남 7.2p(85.7→92.9), 울산 6.7p(93.3→100.0), 광주 6.3p(75.0→81.3), 경북은 4.6p(80.0→84.6) 상승 전망됐으며, 부산은 6.0p(95.5→89.5), 제주는 8.3p(75.0→66.7) 하락 전망됐고, 대전은 100.0으로 전월과 동일하게 전망됐다.
전국 대부분 지역의 아파트분양전망지수가 상승 전망돼 지난해 11월 이후 최고치로 나타났다. 이는 금리 인하 기대감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 조기종식 가능성과 더불어 탄핵 사태 종결에 따른 정국 안정과 새 정부 출범에 따른 기대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주산연 관계자는 "6월 초 대선을 앞두고 재건축 특례법, 공공주택 특별법 개정안, 민간임대주택법 개정안 등 추진 중이던 부동산 공급 확대를 위한 입법 논의들이 지연되고 대선 결과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다세대 주택과 아파트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s://image.inews24.com/v1/4fde7f5cc5dc57.jpg)
한편 4월 대비 5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2.1p 하락한 103.0으로 전망됐다. 건설 경기 침체로 건설 원자재 수요가 감소하면서 분양가격 전망도 하락한 것으로 풀이된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5.4p 상승한 95.6으로 전망됐다. 탄핵 사태 종결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로 사업자들이 계획했던 분양을 진행했고 추경으로 대규모 경기부양책 시행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에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다만, 작년 11월 이후 7개월 연속 기준치(100.0)를 하회하며 여전히 부정적인 전망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2.1p 상승한 108.8로 전망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지속된 분양가 상승으로 인한 고분양가 부담에 경기 둔화 우려가 더해져 수요가 위축됐다"고 분석했다.
/이수현 기자(jwdo95@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