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유범열 기자]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이 필요하다는 당 의지는 명확하다"며 탈당 문제는 더 이상 논쟁거리가 될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15일 오전 김문수 대선 후보의 유세를 돕기 위해 서울 구로구 신도림역 입구로 향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https://image.inews24.com/v1/999b78ef0d21bb.jpg)
윤 전 대통령이 쉽사리 자진 탈당을 결심하지 못하는 모양새인 가운데, 전날 '당원권 정지' 등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강제조치도 예고한 김 비대위원장이 향후 실질적 행동을 취할지 주목된다.
김 비대위원장은 16일 오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어제 저희가 당의 의지를 보여드렸고 사실 탄핵의 강을 넘었다고 생각한다. 이 문제는 이제 당에 맡겨주시면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그는 오전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날 중으로 윤 전 대통령에게 탈당 문제와 관련해 전화 연락을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비대위원장은 '오늘 윤 전 대통령에게 연락을 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그 문제는 저희가 알아서 처리하도록 하겠다"며 "(윤 전 대통령의 탈당 수용) 여부와 관계없이 당은 당대로 준비하는 것이 있다. 앞으로 이 문제는 시간을 가지고 저희 당이 보여드릴테니까 지켜봐달라"고 강조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 직후 가진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도 같은 취지의 질문에 "어제부로 우리 당의 의지를 보여드렸다. 대통령의 (탈당) 결정 여부는 지금 상황에서 이제는 중요하지 않다"고 거듭 밝혔다.
구여권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친윤(친윤석열)계 의원들과의 통화에서 "당에 도움이 되면 탈당 등 못할 것이 없다"면서도 지금 본인이 탈당하면 핵심 지지층이 떨어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자진 탈당에 선을 그은 것이란 해석이다.
김 비대위원장은 전날 취임 기자간담회에서 대통령의 탈당 여부와 별개로,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단을 받은 당원에 대해 일정 기간(3년) 당적을 제한하는 방안을 당헌·당규에 제도화하는 것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날 윤 전 대통령의 의중을 확인한 김 비대위원장이 결국 '간접 출당'이라는 해당 카드를 빼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다만 김 비대위원장이 검토 중인 조치에 대한 친윤계의 반발이 다수 나오고 있는 것은 변수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광주 5.18 민주묘지를 방문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인위적인 탈당이나 강제 출당은 또 다른 당내 갈등을 심화시킬 우려가 있다"며 "윤 전 대통령이 스스로 판단하는 게 중요하다. 당과 대선을 위해 그런 판단을 하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윤상현 의원도 "윤 전 대통령 탈당 여부를 둘러싼 논쟁이 이어지는데, 공개적으로 논의할 사안이 아니다"라며, "선대위나 당 관계자들이 공개적으로 이야기하는 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김문수 당 대선후보도 여전히 윤 전 대통령 탈당 문제에 대해 소극적 입장이다. 이에 정치권에선 윤 전 대통령이 촉발한 국민의힘 내부 엇박자가 심각한 내홍으로 번져, 대선 직전 대형 악재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범열 기자(heat@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