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전공의 복귀 급물살"⋯임상시험에도 '숨통'


전공의 공백에 임상 차질 이어져…"정부 해법 따라 갈릴 것"

[아이뉴스24 정승필 기자] 윤석열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반발해 집단 이탈했던 전공의들의 9월 복귀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에 그간 위축됐던 임상시험 현장의 회복 여부도 제약·바이오 업계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다만 복귀 시점과 수련 인정 범위 등을 둘러싼 전공의 측 요구와 정부의 수용 여부가 여전히 쟁점으로 남아 있어, 향후 협상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27년 만의 의대 입학정원 증원이 확정된 24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가운과 책이 놓여 있다. 2024.05.24 [사진=연합뉴스]
27년 만의 의대 입학정원 증원이 확정된 24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가운과 책이 놓여 있다. 2024.05.24 [사진=연합뉴스]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 정권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에 수련 과정을 중단했던 전공의들의 9월 복귀 논의에 속도가 붙고 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이달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간담회를 열고, 수련환경 개선과 의료현장의 법적 책임 완화 등 의료계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보건복지위원장 겸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이수진 의원 등이 참석했다. 이는 이재명 정부 출범 약 2개월 만에 이뤄진 진전이다.

앞서 이 대통령은 "전공의들이 복귀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대선 과정에서도 의료대란 해결을 최우선 국정 과제로 내세우며 이를 여러 차례 언급했다. 김민석 국무총리 역시 의대생·전공의와 만나 의정갈등 해결 방안을 논의하는 등 소통을 이어왔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 제약·바이오 업계에서는 그간 위축됐던 신약 임상 활동이 회복될 것이란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전공의들의 집단 이탈로 대학병원 교수와 임상의들이 의료현장에 투입되면서, 각 병원에서 진행 중이던 임상시험도 차질을 빚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이 지난해 내내 지속되면서,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임상 계획을 수정하거나 불가피하게 연기해야 했다.

신약 임상시험은 주로 대학병원에서 진행되는데, 전공의들은 피험자 동의서 확보부터 임상 수행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병원 내 전공의 수가 크게 줄면서 임상시험을 정상적으로 진행하기 어려운 병원이 많아졌다. 임상을 의뢰한 제약사들도 연쇄적인 피해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JW중외제약은 이번 사태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기업 중 하나로 꼽힌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7193억원, 영업이익 824억원을 기록하며 각각 전년 대비 3.9%, 17.8% 감소했다. 실적 하락 원인으로는 전문의약품(ETC)과 일반의약품(OTC) 매출 감소, 연구개발비 증가 등이 지목된다. JW중외제약은 병원 등 의료기관을 핵심 고객층으로 두고 있으며, 전문의 처방이 필요한 ETC 중심의 영업 구조를 갖추고 있다.

임상시험 건수는 의정갈등 여파로 인해 5년 만에 처음으로 1000건 이하로 줄어들기도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건수는 944건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의 1120건보다 크게 감소했다. 2021년에는 1349건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 투자 심리 위축 등 영향으로 2022년 1011건, 2023년 1018건으로 감소세가 이어졌다.

27년 만의 의대 입학정원 증원이 확정된 24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에 가운과 책이 놓여 있다. 2024.05.24 [사진=연합뉴스]
28일 대구 중구 경북대학교병원의 한 병동이 폐쇄된 가운데 의료 기구들이 멈춰서 있다. 2024.05.28 [사진=연합뉴스]

다만 전공의 복귀 시점과 방식, 수련 인정 범위를 둘러싼 이견은 여전히 남아 있다. 전공의들이 투쟁을 중단하고 복귀로 입장을 전환했지만, 수련 재개를 위한 여러 조건을 제시하고 있어 정부가 이를 얼마나 수용할지가 향후 협상의 핵심이 될 전망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최근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의 재검토, 입대한 전공의와 입영 대기자에 대한 수련 연속성 보장, 불가항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수련환경 개선 등을 복귀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했다.

특히 이 중 수련의 연속성 보장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공의들이 수련병원을 자진 사직한 이후 1년 이상 경과한 만큼, 이미 다른 병원에 취업했거나 군 복무 중인 인원이 적지 않다. 전공의들은 일반적으로 수련을 마친 뒤 전문의 자격 취득까지 입영을 연기하지만, 사직하면 입영 대기 상태로 전환돼 예정된 시기에 입대해야 한다. 이미 군 복무 중인 전공의들은 올해 안에 수련을 재개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전역 후 수련병원에 자리가 남아 있을지도 불확실하다.

제약·바이오 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병원 측이 수련 연속성 보장 등 전공의 측 요구에 대한 현실적 해법을 마련하지 못하면, 복귀 논의가 다시 난항을 겪을 수 있다"며 "특히 뚜렷한 수익 기반이 없는 바이오텍 기업들은 임상 지연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 부담이 더욱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승필 기자(pilihp@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전공의 복귀 급물살"⋯임상시험에도 '숨통'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