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이진숙, '논문 가로채기' 의혹 적극 해명…전문성은 '글쎄' [종합]


"표절 관련, 충남대 총장 임용 당시 검증 받아"
"차녀 불법 조기 유학, 국민께 진심으로 송구"
'법정 수업일수·유보통합 주관 부처' 등 현안 파악 미비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아이뉴스24 라창현 기자] 인사청문 슈퍼위크 시작 전부터 표절 등 논란의 중심에 선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적극 해명에 나섰다.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을 받았던 이 후보자는 본인이 연구를 주도한 만큼 제1저자가 되는 게 당연하다는 취지로 해명했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이날 오전부터 이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진행했다. 앞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함께 낙마 1순위로 꼽힌 만큼 야당은 이 후보자 때리기에 초점을 맞췄다.

"실험 설계·연구 주도한 사람으로 1저자 표기"

이 후보자는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에 적극 해명했다. 앞서 범학계 국민 검증단은 지난 14일 이 후보자가 제자의 학위 논문임을 밝히지 않고 자신을 학회지 논문의 제1저자로 올렸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후보자는 "이공계의 경우 대학원생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교수가 수주해 온 국가과제나 연구과제로 수행된다"며 "학생은 세부 과제로 진행하고 발전시켜서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가는 게 일반적 발표 순서"라고 설명했다.

이어 "학위 논문 연구는 지도 교수가 수행하는 연구 과제의 일부분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지도 교수와 대학원생 간 기여도를 고려해 제1저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게 (한국)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 덧붙였다.

또 "충남대 내부 연구윤리기준에 따라 진행했고, 국가 과제의 연구 책임자로서 실험을 설계하고 연구를 주도한 사람으로서 1저자로 표기한 것"이라고 거듭 억울함을 표시했다.

제자의 논문과 이 후보자의 논문 간 동일성이 높다는 지적에 대해선 "같은 실험 세팅을 활용해서 한쪽은 '불쾌글레어' 평가를, 다른 쪽은 '피로감'을 평가한 것"이라며 "불쾌글레어는 눈에 들어오는 광원의 양에 따른 불쾌감의 물리적 요소고, 피로감은 불쾌글레어로 인해서 느껴지는 정신적인 감정 피로감이다. (이 둘을) 따로 평가한 것"이라고 말했다.

표절 논란 관련해선 "2007년 이전의 논문에 대해서는 연구 윤리가 확립되기 전의 것들이고, 그 이후 총장 임용 당시 100여 편의 논문을 외부 전문가들과 함께 검증을 받았으며 모두 유사율 10% 미만 판정을 받았다"면서 "카피킬러는 단순 유사성을 기준으로 수치를 산정하기 때문에 이공계 실험 논문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녀 조기 유학 질의에 사과를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차녀 불법 조기유학 '인정'…"인지 못했지만 큰 실수"

차녀의 불법 조기유학에 대해선 인정하고 사과했다. 이 후보자의 둘째 딸은 지난 2007년 중학교 3학년 1학기를 마치고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하지만 당시 초중등교육법 하위법령인 국외 유학에 관한 규정은 중졸 이상 학력자에게만 자비유학 자격을 부여하면서 부모 모두 해외에 1년 이상 거주하고 초·중등생 자녀는 '동거 목적'으로 출국하면 합법으로 인정했는데, 이 후보자 부부는 국내에 머문 것으로 파악됐다.

그는 "국민께 정말 송구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 진심으로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그때는 (중학교 과정을 마치지 않고 유학을 가는 게) 불법인지조차 알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그는 첫째 딸이 미국 유학 당시 한국과 미국의 학제가 달라 "1년 반을 더 고등학교에 다니게 됐다"고 하면서 "둘째 딸은 언니가 먼저 유학 가서 따라간 경우인데, (첫째처럼) 1년 반이나 뒤로 물러나게 되는 것만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불법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저의 큰 실수였다"고 덧붙였다.

야당에서는 자녀가 모두 외국에서 나온 만큼 공교육을 강조하는 진보 정부의 교육부 장관으로는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조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다른 장관도 아니고 교육부 장관을 하시겠다는 분이 (자녀들을) 공교육(에서) 탈출시켜 놓고, 이 자리는 후보님이 받아선 안 되는 자리였다"며 "특히 진보 정부라고 청렴성·도덕성·교육의 평등·공교육을 강조하는 이 진보 정부에선 '제1대 교육부 장관으로는 적절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라고 하는 게 맞는 자세였다"고 꼬집었다.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조정훈 국민의힘 간사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게 "자녀 조기 유학 관련한 자료 미제출시 고발하겠다" 라며 발언하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전문성 결여 논란에 "교사 자격증 있어"

대학 교수 출신인 만큼 유·초·중등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 후보자는 '교사 자격증'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사범 계열 건축공학교육과 출신으로 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며, 교직 이수를 했고 교생실습을 했다"며 "수십 년간 중등교원들에 대한 연수를 늘 담당하며 현장의 선생님들과 소통을 많이 하는 등 관심을 가졌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했다.

다만, 이 후보자는 교육부 수장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적인 현안 등 질의에 진땀을 빼는 모습을 보이며 우려를 더 키우기도 했다.

그는 초·중·고등학교 법정 수업일수(190일 이상)에 관한 질문에 "정확히 모르겠다"고 답했으며, 전국 1만여 학교에서 교육행정정보를 연계해 처리하는 시스템을 묻는 말에는 질의자보다 한 박자 늦게 "나이스(NEIS)"라고 답했다. 또 '유보통합' 주관 부처에 대해선 '교육부'가 아닌 "교육청"이라고 오답을 말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장외에서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이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했다. 전교조 세종, 충남지부는 "교육 현장의 절박한 외침을 외면하는 자는 교육부의 수장이 될 수 없다"며 "이 후보자는 사퇴하고 이 대통령도 교육부 장관 지명을 철회하라"고 압박했다.

/라창현 기자(ra@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이진숙, '논문 가로채기' 의혹 적극 해명…전문성은 '글쎄' [종합]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