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美 노후 함정 정비·신규 함정 건조 수요 급증...한국과 협력해야"


15일 오전 대한상의서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 진행
"건조 분야 협력 위해선 美 존스법 폐지 등 법령정비 필요"
"美 함정 MRO부터 신뢰 쌓아가며 건조 까지 확대해야"
"국내 조선소 간 경쟁 우려⋯협의체 구성 등 대책 필요"

[아이뉴스24 최란 기자] 미국 해군 함정 노후화와 이로 인한 정비 수요가 급증해 한미간 협력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함정 정비 협력으로 시작해 건조까지 확대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로버트 피터스 헤리티지 재단 선임연구원이 15일 대한상의에서 열린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에서 영상을 통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
로버트 피터스 헤리티지 재단 선임연구원이 15일 대한상의에서 열린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에서 영상을 통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

조선·방산 분야 전문가들은 15일 대한상공회의소와 한미협회가 대한상의에서 개최한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에서 조선·방산 분야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로버트 피터스 헤리티지 재단 선임연구원은 영상을 통해 "미국의 함정, 항공기, 탄약은 유사시 대응에 충분하지 않다"며 "특히 노후 함정 정비 수요 급증에 따라 조선소 공간이 잠식돼 신규 함정 건조까지 지연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피터스 연구원은 "한국과 유지보수정비(MRO) 협력을 하게 되면, 전시에 미국 본토로 돌아가지 않고 한국에서 빠르게 전투함을 수리할 수 있다는 장점과 평시에는 미국 조선소의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건조 분야까지 협력하려면 존스법이 폐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로버트 피터스 헤리티지 재단 선임연구원이 15일 대한상의에서 열린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에서 영상을 통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
김대영 한국국가전략연구원 군사전문 연구위원이 15일 대한상의에서 열린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

김대영 한국국가전략연구원 군사전문 연구위원은 "지난해 11월 한화오션에서 월리 쉬라호 함정의 MRO 작업 현장을 찾아가 직접 본 적이 있다"며 "미국은 해군 전력 확보에 한국의 도움이 없으면 안 되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고, 함정 MRO 사업이 계속 발전할 것으로 보이며 함정 장비의 MRO도 도전해 볼만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미 해군 MRO 사업에 국내 다양한 조선업체가 뛰어들겠다고 하고 있고, 출혈 경쟁과 저가 수주 우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국내 조선소 간에 협의체를 구성해서 일괄 수주하는 것도 진지하게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로버트 피터스 헤리티지 재단 선임연구원이 15일 대한상의에서 열린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에서 영상을 통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
정우만 HD현대중공업 상무가 15일 대한상의에서 열린 '한미 산업협력 컨퍼런스'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최란 기자]

정우만 HD현대중공업 상무는 "2023년에 중국 해군 함대 규모가 미국을 앞서게 됐고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다"며 "향후 30년간 364척의 새 함정을 건조하겠다는 미 해군의 계획은 현재의 건조 역량을 보면 상당히 도전적인 과제"라고 분석했다.

그는 "한국이 미국 함정의 MRO 지원을 본격화하고 건조 분야까지 협력 범위를 확대해 나간다면 미 해군의 전투준비태세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미국의 존스법, 번스-톨레프슨법 때문에 선박과 함정을 해외에서 건조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어 법적 규제 선결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 상무는 "미국은 장기적으로 투자를 통해 조선업 생태계를 근원적으로 복원해야 하겠진 지만, 당장의 상선 함정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는 한국과 같은 동맹국을 활용하는 것이 해법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최란 기자(ran@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美 노후 함정 정비·신규 함정 건조 수요 급증...한국과 협력해야"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