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단독] 부산시 '엉터리 공사'로 지역 학교 오폐수 2년간 낙동강 유입돼 '논란'


221명 학생·32명 교사가 2년간 사용한 오폐수 낙동강으로 방류
2016년 BTL사업 미시공 준공 허가, 진상조사 나서야

[아이뉴스24 임승제 기자] 부산시의 말도 안되는 엉터리 공사로 인해 시내 한 학교의 똥물 등 생활오폐수가 하수처리장으로 가지 않고 우수관을 타고 낙동강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의혹이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

특히 부산시가 2년여간 생활오폐수가 낙동강으로 유입되는 사실을 알면서도 방치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충격을 주고 있다.

11일 <아이뉴스24>취재를 종합하면 부산시는 지난 2019년 8월 부산시교육청·부산환경공단과 함께 총사업비 1448억여원을 투입해 쾌적한 도시환경조성 및 깨끗한 학교 위생환경개선 등으로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학교시설 제공과 공공수역의 수질 개선을 목표로 협약을 맺고 '학교 분류식하수관로 연결사업'을 추진했다. 대상은 부산 소재 학교 및 기관 448개소다.

부산 북구 한 중학교 인근에 위치한 맨홀에 해당 학교에서 배출된 변이 보이고 있다. [사진=임승제 기자]

이 사업은 이들 학교·기관에서 발생하는 생활오수(정화조 폐쇄 등)를 시 하수관로에 연결하는 사업이다.

하도급사인 A업체는 지난 2022년 12월 부산 북구 소재 B중학교 공사에 들어가 이듬해 3월경 사업을 완료했다. 이후 교사들과 학생들이 배출한 생활오수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학교 외부 도로변 맨홀 덮개로 똥물이 넘치는 오버플로우 현상이 2회 가량 발생했다.

즉시 부산시와 공사감리·업체 관계자는 실태 조사에 나섰고 부실 공사를 확인했다. 하지만 부산시는 문제 해결을 하지 않고 2년 동안 이를 덮고 방치했다. 그러던 차에 (2024년 기준) 221명 학생과 32명의 교사들이 이 기간에 사용한 생활오폐수는 낙동강으로 유유히 스며들었다.

사건 발단은 앞서 부산시가 지난 2016년 7월 오염이 극심한 부산 사상구 삼락, 덕천동 일대를 중심으로 낙동강변 지천의 수질 개선을 위해 완료한 분류식 하수관거 임대형 민자사업(BTL)에서 비롯됐다. 당시 B중학교와 연결되는 외부 하수관로(지선)가 하수처리장으로 가는 메인관로와 연결이 되지 않고 끓긴 채 방치돼 있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당연히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돼야 할 더러운 오폐수와 배설물들이 갈 길을 잃고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부산 북구의 한 중학교에서 배출된 오폐수(빨간점선)가 하수관로 맨홀에서 우수관로로 연결된 배관을 통해 유입되고 있다. [사진=임승제 기자]

따라서 준공 검사에 대한 의혹 제기가 따른다. 미시공된 상태에서 연계 사업이 발주됐기 때문이다. 이는 낙동강변 지천의 수질 개선을 위한다는 당초 사업 취지를 무색하게 하는 대목이다.

본지는 제보를 받고 직접 두 차례 현장을 찾아 맨홀과 우수관로 내부를 확인했다. 당시 악취가 심해서 제대로 숨을 쉬기가 힘들 정도였다.

특히 부산시와 시교육청은 업무협약 당시 학교에서 발생하는 오수를 정화조를 거치지 않고 분류식 하수관로에 연결해 공공수질 오염을 예방하는 등 친환경 생태도시를 위한 전국 최초의 협업 사업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하기도 했다.

시공사인 A업체 관계자는 "설계도면에는 메인관로와 연결이 된 것으로 표기돼 있어 설계대로 정확히 시공했다"며 "하지만 공사 완료 후 도로변으로 오폐수가 넘친다는 민원 신고를 받고 현장 조사 결과, 메인관로와 연결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당황했지만 원도급사의 지시를 받고 우수관로에 배관을 연결해 오폐수를 배출했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부산시 관계자는 <아이뉴스24>와의 전화통화에서 "당시 설계에는 하수관로가 메인관로에 연결돼 있는 것으로 확인돼 공사를 진행했는데 완료 후 미시공된 사실을 알게 됐다"며 "빠르면 8월경 인근 북구제척지 일원 하수관로신설 확충사업과 연결해 원만히 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년여간 오폐수 유입을 방치한 것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았다.

또 BTL사업 당시 미시공된 부실공사 관련, 준공검사에 대해서는 당시 담당자가 아닌 관계로 알 수 없다며 확인해 알려주겠다고 했다.

부산 북구 한 중학교 외부 도로에 생활오폐수 맨홀이 보이고 있다. [사진=임승제 기자]

부산시교육청과 학교 측은 사업 주최자가 아닌 관계로 알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협약을 통해 협력사업을 함께 참여했지만 전적으로 부산시가 사업을 주도했다는 주장이다.

부산시교육청 관계자는 "부산시·부산환경공단과 함께 협력사업을 추진한 것은 맞지만 부산시가 발주자로 사업 일체를 관장한다"면서 "만일 학교 외부 관로가 형성이 돼 있지 않으면 사업을 추진해서는 안되는 것인데 당초 부산시와 환경공단이 가능하다고 해서 협력사업에 동참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사업은 총사업비 1488억 가운데 부산시가 949억원(63.8%)을 부담하고 부산시교육청은 539억원(36.2%)을 투입한다. 현재 부산시는 248억원을 교육청은 370억원 가량을 지급했다.

부산환경공단은 20년간 환경기초시설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업계획 및 공사지원과 관로 유지·관리 업무를 맡는다.

/부산=임승제 기자(isj2013@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단독] 부산시 '엉터리 공사'로 지역 학교 오폐수 2년간 낙동강 유입돼 '논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