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정예진·박성현 기자] 복합적인 경기 침체와 디지털 전환 지체 속에서 지역 소상공인들이 겪는 어려움이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부산 지역 45만여명의 소상공인을 대표해 목소리를 내는 조직이 있다. 바로 부산광역시 소상공인연합회다.
이 연합회를 이끌고 있는 최송희 부산광역시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11일 <아이뉴스24>와 만나 “정책 제안, 제도 개선, 공공-민간 협력사업 등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연합회가 되고자 한다”며 “단순한 생계형 자영업을 넘어 소상공인이 부산 경제의 주체로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부산광역시 소상공인연합회는 지역 16개 구·군 소상공인연합지회를 총괄하며, 지역 소상공인의 실질적 권익 보호를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주로 정책 제안, 제도 개선, 공공-민간 연계 협력사업 등을 통해 소상공인의 지속가능한 경영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것이다.
최 회장은 현재 소상공인들이 직면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소비침체, 비용 인플레이션, 그리고 상권 양극화를 꼽았다. 그는 “해운대나 광안리처럼 일부 상권은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 원도심이나 산복도로, 부산대 상권 등은 공실률이 20%에 달할 정도로 침체가 심화되고 있다”며 “여기에 50세 이상 고령 소상공인을 중심으로 디지털 전환 속도가 더딘 점도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한국은행 부산본부 자료에 따르면 소상공인의 월평균 매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전보다 12~15%가량 낮은 수준인 반면 인건비와 임대료는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다.
연합회가 최근 실시한 조사 결과도 이러한 위기의식을 뒷받침하고 있다. 최 회장은 “응답자의 68%가 전년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고 답했고, 그중 32%는 10% 이상 줄었다고 체감했다. 폐업 대비 창업 비율도 전국 평균(0.92)보다 낮은 0.78에 불과한 상황”이라며 “이제는 단순한 일시적 침체가 아니라 구조적 위기로 인식하고, 현장 중심의 정책 전환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부산시 소상공인연합회는 디지털 기반 사업을 통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스마트상점 시범사업과 디지털 전환 교육 프로그램은 체감도가 높았던 정책으로 평가된다.
최 회장은 “전통시장 30곳에 스마트POS, AI CCTV(인공지능 폐쇄회로 텔레비전), 무인계산 시스템을 도입한 결과 고객 경험이 개선되고, 회귀율도 8~12% 상승했다”며 “또 디지털 교육 수료자의 65%가 SNS(사회관계망서비스)나 배달 플랫폼을 통해 실제 매출 증가 효과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고 말했다.
다만 여전히 아쉬운 점도 존재한다. 그는 “대부분의 지원사업이 경쟁 공모 방식으로 운영되다 보니 상인 간 갈등이 발생하거나 복잡한 행정 절차로 실질적인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며 “앞으로는 지속 가능한 수익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책이 전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부산시 소상공인연합회는 올해 소상공인의 판로 확대와 역량 강화를 주요 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대표적인 사업은 부산시와 공동으로 진행하는 ‘소상공인 상생한마당’이며, 구·군별 플리마켓인 ‘상생마켓’도 상시 운영되고 있다.
특히 AI 기반 SNS 마케팅 교육은 입문과 심화 과정으로 나눠 운영해 디지털 적응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 회장은 향후 소상공인의 목소리가 실제 정책에 반영되도록 하는 데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그는 “각 구·군 지부와의 정기적인 이사회, 정책간담회를 통해 지역 현안을 수렴하고 이를 시와 공유해 ‘참여형 정책 설계’ 체계를 정착시켜 나가고 있다”면서 “이는 일방적인 행정보다 훨씬 실효성 있는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임기 내 가장 중요한 목표는 안정과 혁신이 공존하는 상권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라며 “누구나 창업할 수 있고, 실패하더라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지역경제 구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부산=정예진 기자(yejin0311@inews24.com),박성현 기자(psh0926@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