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무신사의 양수겸장 전략"⋯PB상품 판매 열올린다


'무신사 스탠다드', 패션 플랫폼 유일무이 PB 성공 사례
가성비 트렌드에 오프라인 확장하며 소비자 관심 끌어내

[아이뉴스24 진광찬 기자] 유통기업들의 수익성 확보 전략이 자체 브랜드(PB) 출시로 모아지고 있다. 'PB 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패션 플랫폼 업계에서는 선두주자인 무신사의 포지셔닝이 주목받는다.

무신사 스탠다드 스타필드 수원점 모습. [사진=진광찬 기자]
무신사 스탠다드 스타필드 수원점 모습. [사진=진광찬 기자]

자사에 입점하는 상품을 관리·영업하는 중개자이자 함께 경쟁하는 브랜드 판매자인 독특한 구조를 창안한 것이다. 본업인 플랫폼을 넘어서려는 몸짓으로 풀이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가격에 민감해진 소비자들이 늘면서 패션·뷰티·식품 등 기업들이 잇따라 PB를 선보이고 있다. 패션 플랫폼들도 외형을 확장하고,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PB 브랜드를 론칭한다. 상품 기획부터 생산, 판매까지 직접 나서 중간 마진 없이 낮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어서다.

대표적으로 무신사가 2015년 론칭한 PB 무신사 스탠다드는 국내 SPA(제조·유통 일괄) 브랜드 시장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다졌다는 평가다. 최근 몇 년 새 빠르게 성장하며 유니클로, 스파오, 탑텐 등 기존 SPA 브랜드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다른 패션 플랫폼인 지그재그, W컨셉 등도 PB 사업을 시도했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진 못했다. 지그재그의 경우 2023년 첫 PB인 '페어데일'과 '레이지 두 낫띵'을 출시했는데, 현재는 상품을 내지 않고 있다. W컨셉은 2009년 선보인 '프론트로우'를 유지하고 있으나 최근 수익성 개선에 박차를 가하며 PB 효율화 작업에 나선 상황이다.

무신사 스탠다드 롯데백화점 센텀시티점을 방문한 고객들의 모습. [사진=무신사]

무신사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조2427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5.1% 증가했다. 사상 처음 1조원을 돌파하며 눈길을 모았다. 특히 오프라인 진출을 본격화한 무신사 스탠다드의 성장세가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전체 매출에서 제품 매출은 3382억원인데, 이는 대부분 무신사 스탠다드 매출로 볼 수 있다.

업계에서는 무신사가 PB 사업에서 성공을 거둔 배경으로 하나의 브랜드로서 경쟁력을 키울 수 있도록 투자한 점을 꼽는다. 플랫폼에만 의존하지 않고,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판매 전략을 펼치며 소비자들의 접점을 강화한 게 맞아떨어졌다는 것이다. 무신사 스탠다드는 셔츠, 슬랙스, 데님 등 '기본템'을 주력 상품으로 한다.

무신사 스탠다드는 2021년 서울 홍대점을 시작으로 현재 24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수도권을 포함해 부산, 대구까지 영역을 넓혔다. 소비자들도 외부 브랜드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인 PB 상품에 무신사라는 신뢰도가 더해지며 긍정적인 반응이다.

무신사 로고. [사진=무신사]

일각에서는 무신사 스탠다드 제품이 늘어날수록 입점 업체들의 입지가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에 대해 무신사는 무신사 스탠다드 매출이 늘어날수록 무신사 전체 거래액과 일 거래액을 거래 건수로 나눈 거래당 매출액이 덩달아 성장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무신사 스탠다드 출시 신규 고객 유입이 늘어나 자연스럽게 비경쟁 브랜드의 구매도 늘어나는 긍정적 '파급효과'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패션 플랫폼이 수수료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게 드러나고 있는 시점"이라며 "브랜드를 운영하려면 디자인 기획부터, 생산, 판매까지 복합적이고 장기적인 역량이 필요한데, 무신사를 제외하면 모두 수익성 부담이 큰 상황이라 쉽지는 않은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진광찬 기자(chan2@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무신사의 양수겸장 전략"⋯PB상품 판매 열올린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