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강선우·이진숙' 논란 일파만파…與, '여론 눈치만'


강선우, 해명 '역효과'…취업 방해 의혹 '위증' 논란도
이진숙, AI교과서 등 교육 현안 관련 자질 논란 불거져
당내 의원들, 후보자들 향해 '사퇴 촉구' 목소리
핵심 관계자 "드릴 말씀 없어…다음 주 판가름 날 것"

사진 왼쪽부터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사진=아이뉴스24 DB]
사진 왼쪽부터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사진=아이뉴스24 DB]

[아이뉴스24 라창현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싸늘한 시선이 여전한 가운데 여당은 여론 눈치만 살피고 있는 모양새다. '낙마는 없다'는 입장은 변함없지만, 내부적으로는 부정적 기류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말을 아끼고 있다.

민주당은 17일 이재명 정부 첫 장관 후보자들의 '전원 생환' 목표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민주당은 그간의 입장과 바뀐 것이 없다"며 "청문회를 통해 검증이 이뤄지고, 실제 임명 결정은 최종적으로 대통령이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하지만 지난 14일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후보자들을 향해 "진솔한 답변으로 제기된 의혹을 해소해달라"고 당부한 것과 달리 상황이 정반대로 흐르면서 내부적으로는 당황한 모습이 역력하다.

인사청문 슈퍼위크에 돌입하기에 앞서 '보좌진 갑질' 의혹을 받았던 강 후보자는 지난 월요일 인사청문회에서 해명에 나섰지만, 역효과가 난 상황이다. 보좌진 취업 방해 의혹에 대해 청문 당시 "타 의원실의 인사 관련해서는 제가 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부인 취지로 답했지만, 의혹에 대해 직접 목격했다는 구체적인 증언이 나오면서 '위증' 논란까지 휩싸였다.

이 후보자의 경우는 논문 표절 의혹이 다 해소되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청문 과정에서 이공계 논문의 특수성을 피력했지만, 제자 논문의 오타까지 그대로 베꼈다는 지적에 대해선 납득 가능한 수준의 답변을 내놓지 못했다. 아울러 AI교과서의 법적 지위·법정 수업일수·나이스(NEIS) 시스템 등 기본적인 교육 현안에 대한 답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자질 논란도 불거졌다.

당 안팎에서는 두 후보자를 향한 '거부' 목소리가 일고 있다. 강 후보자에 대해선 보좌진들의 반발이 잇따르고 있다. 전날(16일)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역대 회장단은 입장문을 통해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했고, 이 후보자에 대해선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시민사회단체가 '지명 철회' 목소리를 냈다.

사진 왼쪽부터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사진=아이뉴스24 DB]
조은희 여성가족위원회 국민의힘 간사를 비롯한 위원들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 강 후보자를 규탄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사진=곽영래 기자]

그러면서 당 내부에서는 후보자들을 향해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입장이 잇따르고 있다.

김영진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인사청문회를 보고) 여러 아쉬움이 있다"면서 "청문회 과정에서 문제 제기가 됐고, 이 부분에 대해 국민 눈높이를 당사자와 인사권자가 깊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박지원 의원 역시 KBS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김대중 전 대통령은 '정치는 내가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국민의 생각을 따르는 것'이라고 말했다"며 "민심을 거역해선 안 된다는 정도로 말하겠다"고 말했다.

김상욱 의원도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나와 "교육부 장관으로 나오시는 분께서 제자의 오탈자까지 그대로 복사하는 논문을, 아무리 이공계 논문의 특수성을 고려한다 하더라도 이건 적절치 않다"며 "후보자께서 대통령께 그만 부담을 주셨으면 한다"고 했다.

다만, 장관 임명 여부는 인사권자인 대통령의 의중에 달린 만큼 당은 조금 더 시간을 두고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게 당 분위기다.

당 핵심관계자는 통화에서 "(두 후보자에 대해) 제가 드릴 말씀이 없다. 다음 주가 되면 (두 후보자의 거취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판가름이 날 것 같다"면서 말을 아꼈다.

다른 관계자 역시 "지금 소명이 됐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고, 더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어서 의견 수렴하는 과정이 더 필요할 것 같다"며 "주말이 지나야 가닥이 잡힐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응 방향에 대해서도 "내일 최고위원회의와 당무회의가 있는 만큼 내일쯤에야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라창현 기자(ra@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강선우·이진숙' 논란 일파만파…與, '여론 눈치만'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