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라창현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가 28일 반도체 기업을 찾으며 대선 주자로서의 공식 행보에 나섰다. 앞서 '반도체 특화 생태계' 구상을 밝힌 그는 반도체 산업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기업 친화적 이미지' 쌓기로 보수·중도층 확보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8일 오후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에서 열린 'K-반도체' AI메모리반도체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취재단]](https://image.inews24.com/v1/a16dc5df583922.jpg)
이 후보는 이날 오후 경기도 이천 SK하이닉스에서 'K-반도체' AI메모리반도체 기업 간담회를 열고 "미래 첨단산업의 육성이 가장 중요한 과제인데, 우리 대한민국이 일정 정도 앞서나간다고 하는 반도체 산업이 큰 타격 없이 앞으로도 계속 세계를 주도해 나가기 위해 어떤 조치들이 필요한지 의견을 듣고 싶다"고 했다.
이날 비공개 간담회에서는 반도체 산업의 기반시설 부족 문제가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 후보는 지난 25일 수도권 공약 중 경기남부(성남·수원·용인·화성·평택·안성)지역에 '반도체 특화 생태계'를 구축 방안을 제시하면서 인센티브 및 전력·용수공급 등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반도체 산업에서 전력과 용수공급은 핵심적인 인프라 요소로 꼽힌다.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는 오는 2053년까지 전체 10GW(기가와트) 이상의 전력수요가 예상되는 상황인데, 수도권 전체 전력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이 후보도 이날 "지금 당장 문제 되는 게 용수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이라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대한 장기 전력 공급 계획이 불확실하고 특히, 용수 공급도 꽤 문제가 있어서 논쟁거리라서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함께 논의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차기 정부의 과제로 첨단기술산업 기업에 대한 지원을 꼽았다. 그는 "국민의 민생을 개선하려면 결국 경제가 활성화해야 하며, 경제 활성화의 주체는 기업임이 분명하다"며 "앞으로 첨단 기술 산업에 대한 우리 경제 비중도 매우 커질 것이어서 차기 정부의 주요 과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아울러 미국 트럼프 행정부발 관세 문제에 대해선 "전 세계가 보호무역주의로 전환하고 특히 미국이 초고율 관세로 관련 무역 당국들을 압박하고 있는데, 시간을 가지고 우리가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다른 나라들이 어떻게 대응하는지 그 결과들도 보겠다"고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8일 오후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이천캠퍼스에서 열린 'K-반도체' AI메모리반도체 기업 간담회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취재단]](https://image.inews24.com/v1/09b2357bf6c2cc.jpg)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압도적 초격차·초기술로 세계 1등 반도체 국가를 만들겠다"며 반도체 공약을 발표했다. 반도체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반도체 특별법 신속 제정 △반도체 세제 혜택 확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반도체 R&D(연구개발)·인재 양성 지원 등 공약을 제시했다.
/라창현 기자(ra@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