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서울 시내버스' 노사 협상 공전…노조 "파업으로 몰아" 규탄


[아이뉴스24 박정민 기자] 서울 시내버스 노사 간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이 답보 상태인 가운데, 시내버스 노조가 서울시와 사측이 교섭을 파행으로 몰고 있다며 규탄했다.

전국자동차노련 서울시버스노조가 14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별관 인근에서 연 서울시 규탄 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국자동차노련 서울시버스노조가 14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별관 인근에서 연 서울시 규탄 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14일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앞에서 100여명이 집결해 '단체교섭 승리! 서울시 규탄 결의대회'를 열었다.

박점곤 서울시버스노조위원장은 집회에서 "서울시와 사용자들이 노동자의 열악한 처지는 무시한 채 대법원 결정에 따른 통상임금 재산정을 포기하라고 우리를 파업으로 몰고 있다"며 "노조 요구를 '25%에 달하는 임금인상을 요구한다'고 교묘히 왜곡해 언론플레이로 서울시민과 버스노동자의 갈등을 유발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법에 명시된 조합원들의 권리는 서울시도 사용자도 침해할 수 없다"며 "우리는 '임금체계를 바꾸지 않으면 대화조차 없다'는 협박에 맞서 조합원 권리를 포기하는 임금체계 개편에는 절대 합의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앞서 서울 시내버스 노사는 지난달 29일 교섭이 결렬된 후 일체의 물밑교섭도 진전되지 않고 있다. 최근 노조가 사측에 중앙노동위원회를 통한 사후 조정을 제안했으나, 사측이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국자동차노련 서울시버스노조가 14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별관 인근에서 연 서울시 규탄 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전국자동차노련 서울시버스노조가 14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별관 인근에서 서울시 규탄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노조 측은 현재 대법원 판결에 따른 상여금의 통상임금 반영과 정년 연장 등을 주장하고 있으며, 서울시 등은 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 등을 수용할 경우 비용 부담이 증가해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유재호 노조 사무부처장은 "사측은 합리적인 요구안을 내놓지 않고 단체협약에서 상여금 규정을 삭제하거나 통상임금이 안 되게 개정하지 않으면 교섭 테이블 자체에 앉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협상에 나서지 않고 있는 사측을 비판했다.

한편 서울버스노조를 비롯한 22개 지역 시내버스 노동조합들은 각 지역의 임단협이 진척되지 않을 경우 오는 28일부터 전국 동시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박정민 기자(pjm8318@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서울 시내버스' 노사 협상 공전…노조 "파업으로 몰아" 규탄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