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사진=정소희 기자]](https://image.inews24.com/v1/bcf9c8bf04f1f3.jpg)
[아이뉴스24 유범열 기자] 조현 외교부장관 후보자가 17일 한미정상회담이 늦어지는 이유는 관세 문제나 트럼프 미 대통령의 일정에 따른 것이라며, 일정이 잡혀나가고 있다고 들었다고 밝혔다.
조 후보자는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미국으로부터 한국 새 정부가 미국을 배척하거나,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그런 것도 아니구나 하는 것에 안도한다는 메시지를 개인적으로 들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취임하면 미국부터 가야 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했던 본인의 발언에 대해서는 "워싱턴 외교가의 지인들로부터 저에 대한 신뢰 메시지를 많이 받았기 때문에 필요하면 다른 나라를 방문한 후 바로 미국을 방문해도 좋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했다"며 "오해가 있었다면 좀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조 후보자는 후보자 지명 직후 이 발언으로 야당으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북한이 적인지, 위협인지 묻는 김기웅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는 "적으로 변할 수 있는 급박하고 실존적 위협"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북한은) 이중적 성격을 갖고 있다"며 "평화와 한반도의 안정을 만들어가야 하는 대화의 상대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이 적으로 변한 사례를 말해달라고 요청하자 조 후보자는 "6·25 동란"이라고 답했다. 김 의원이 이어 '현재 북핵 개발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는 적의 행동이 아니냐'고 하자 "적으로 변할 위협이 있고 우리가 심각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재차 말했다.
미국과의 전시작전권 환수문제에 대해서는 "우리의 억제 태세를 유지하는 데 오랫동안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며 "그러나 2018년에 보았듯 한미 간의 합의에 의해 약간의 조정이 필요하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미 간 관세협상 문제에 대해서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내건 최종 시한인 오는 8월 1일 이전 타결될 수 있다고 했다. 조 후보자는 이용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2주 내 미국과 협상 기간에 (타결이) 가능할 것이라고 본다"며 "짧은 기간이지만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있고, 한미 간 윈윈 방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또 "(협상 성공 여부를) 예단하기 어렵지만 우리도 총력을 다하고 있고, 미국 입장에서도 중요한 동맹국일 뿐 아니라, 통상 상대국이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두고 협상할 것으로 본다"며 "우리가 가진 강점을 잘 활용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한미 간 중요한 협상의 마지막 단계"라며 "제가 취임할 수 있게 된다면 다음 주에라도 또는 가장 이른 시일 내 미국을 방문해 마지막 협상에 기여토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농축산물 수입 확대 등과 연계해 타결하는 이른바 '패키지딜' 가능성에 대해선 "최근 전세계적인 추세가 경제와 안보를 함께 해서 만들어 나가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도 그런 차원의 검토를 안 해 볼 수는 없다"고 밝혔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사진=정소희 기자]](https://image.inews24.com/v1/5f122c4b0626aa.jpg)
이재명 대통령의 오는 9월 3일 중국 전승절 참가 계획을 묻는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는 "확정적 답변을 할 수 없음을 이해해달라"고 했다. 안 의원이 전승절 전까지 한미정상회담이 열리지 못하면 한미동맹 기조에 혼선이 작용할 수 있다고 하자 조 후보자는 "그럴 일은 없을 것 같다"고 선을 그었다.
윤석열 정부 시절 외교부가 MBC를 상대로 제기한 이른바 '바이든 날리면' 소송과 관련해, 한정애 민주당 의원이 '당시 대통령실로부터 팔을 비틀려 대리 소송에 나선 것 아니냐'고 묻자 조 후보자는 이에 동의했다.
그러면서 "외교부가 언론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건 잘못"이라며 장관 취임 후 소 취하 가능성을 언급했다.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은 조 후보자가 아들이 삼성전자로부터 지원받은 임대보증금 1억원 등 17억원 가량의 재산 이동 내역을 공직자 재산 신고 과정에서 누락했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유 의원에 따르면 조 후보자는 지난 2019~2022년 자신의 아파트를 9억원에 임대했고, 2019년에는 아들 부부가 서울 용산구 이촌동 아파트를 '갭투자' 방식으로 매입하는 과정에서 7억 원을 증여했다.
또 조 후보자의 아들은 지난 2022년 후보자의 아파트에 임대 계약을 맺고 사내변호사로 근무하던 삼성전자로부터 지원받은 1억 원을 후보자에게 전달했다. 유 의원은 조 후보자가 자산 이동 내역을 늦게 신고하거나 누락했다며 "상습적이고 의도적인 회피가 아닌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조 후보자는 "기술적인 사안을 잘 몰라 채무에서 빠뜨린 것"이라며 "나중에 발견하고 전부 정정했고 다른 의도가 있던 것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유범열 기자(heat@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