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민혜정 기자] 지난해 4분기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시장에서 삼성전자와 1위인 대만 TSMC의 점유율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매출 점유율은 3분기(17.2%)보다 1.1%p 늘어난 18.3%를 기록했다.
TSMC는 1%p 줄어든 52.1%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TSMC 간 점유율 격차(33.8%p)는 전분기보다 2.1%p 줄었다.
![삼성전자 화성 사업장 [사진=삼성전자 ]](https://image.inews24.com/v1/5f8a59f434638a.jpg)
특히 삼성전자는 세계 상위 5위 파운드리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점유율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TSMC와 점유율 격차가 좁아진 것도 삼성전자가 기술력을 앞세워 선전했기 때문이다.
트렌드포스는 "7나노(㎚, 10억분의 1m) 이하 공정에서 유일하게 TSMC와 경쟁하는 삼성전자는 5나노, 4나노 등 첨단 공정의 점진적 확대로 점유율이 상승했다"고 말했다.
TSMC는 아이폰 신제품 효과로 5나노 공정의 매출은 늘었지만, 중국 스마트폰 시장 위축으로 7나노와 6나노 매출은 감소하면서 전체 점유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 화성 사업장 [사진=삼성전자 ]](https://image.inews24.com/v1/34025ccba8021b.jpg)
이에 따라 삼성과 TSMC의 3나노 공정 대결도 주목된다. 삼성전자는 상반기에 3나노 공정 반도체를 양산할 예정이다. TSMC는 당초 7월부터 3나노 공정 반도체를 생산할 계획이었지만 수율 문제로 3~4개월 양산이 지연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TSMC과 삼성이 주도하는 파운드리 시장은 올해도 성장할 전망이다. 다만 트렌드포스는 1분기 성장률이 지난해 4분기보다 줄어들 수 있다고 예상했다. 지난해 4분기 세계 상위 10개 파운드리 매출은 3분기보다 8.3% 증가한 295억5천만 달러로 집계했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1분기에도 파운드리 업체들의 성장은 계속될 것"이라며 "춘절로 중화권은 1분기 영업일수가 적고 일부 파운드리에서는 연간 유지보수 일정을 잡는 시기라 성장률은 4분기보다 소폭 떨어질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민혜정 기자(hye555@inews24.com)
--comment--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댓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