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권한대행 체제'...창원시설공단 이사장 임명절차 강행 '논란'


지역 정가 "시정 안정·지역경제 발전 우선"

[아이뉴스24 임승제 기자] 경상남도 창원특례시 산하 기관인 창원시설공단 이사장 선임을 두고 지역 정가를 중심으로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현재 장금용 제1부시장 시장 권한대행 체제인 창원시가 시설공단 이사장 임명절차를 강행하면서다.

창원시설공단은 이사장이 석 달째 공석이다. 전임 김종해 이사장이 건강상의 이유로 지난 1월 13일 사의를 표해 현재 경영본부장이 직무대행을 맡고 있다.

창원시설공단 전경. [사진=독자 제공]

이에 공단 측은 이사장 공모 절차를 진행 중이다. 내달 14일까지 이사장 신청을 받아서 서류·면접 심사 등을 거칠 예정이다.

임원추천위원회가 이사장 후보자 2배수를 추천하면 시에서 1명을 선정해 시의회 인사청문회 조례에 따라 인사 검증을 받는다.

시는 이사장 임명까지 임원추천위 구성 후 최소 60일 정도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두고 지역 정가에서는 창원시가 무리수를 두면서까지 이사장 임명을 강행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을 임명을 두고 헌법재판소가 제동을 건 사례를 들며 현재 권한대행 체제에서 시설공단 이사장을 임명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다.

특히 임명을 강행해 선임된 이사장으로 인해 내년 지방선거를 통해 창원시장이 선출되면 차기 시정 운영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더해 내년에 실시되는 지방 선거가 1년 정도 남은 시점에서 임기가 3년 보장되는 이사장을 임용하는 건 타당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반대 기류는 인사검증 청문회를 실시하는 창원시의회도 예외는 아니다.

시의회 일각에서는 전임 홍남표 시장이 선거법 위반으로 낙마한 후폭풍이 채 가시기도 전에 이사장 임명을 강행하는 것은 시기적으로 괜한 오해와 잡음을 만들어 지역 사회에 파문을 일으킬 공산이 크다는 입장이다.

지역 정치권도 시의회와 별반 다르지 않다.

홍 전 시장이 임용 절차를 지시했다고 하더라도 현재 권한대행으로 시정이 운영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은 임용할 때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특히 시정 공백을 최소화하고 침체한 지역 경제를 살리는 것이 급선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사장 임용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반면 공단 측은 홍 전 시장이 재임 당시 진행한 것으로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강행할 계획이다.

한편 시장 부재로 다소 불안정한 시정을 운영하고 있는 창원시가 관세전쟁, 내수 침체 등의 여파로 힘겨운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등 시정 주요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시설공단 이사장 임용이 원만하게 이뤄질지 관심이 집중된다.

/창원=임승제 기자(isj2013@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권한대행 체제'...창원시설공단 이사장 임명절차 강행 '논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