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2023년 기술무역 386억 달러, 역대 최대


과기정통부, 2023년도 기술무역통계 결과 발표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는 우리나라의 ‘2023년도 기술무역통계’(연구수행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2023년도 우리나라의 기술무역 규모(수출+도입)는 역대 최대 규모인 386억 달러로 2022년보다 37억4700만 달러(10.8%↑) 증가했다. 기술무역수지비(수출/도입)는 전년(0.78) 대비 0.06p 상승한 0.84로 나타났다.

기술수출은 전년 대비 16.0% 증가한 176억 4800만 달러, 기술도입은 전년 대비 6.7% 증가한 209억5200만 달러로 모두 역대 최대 규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정종오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진=정종오 기자]

산업별 특징을 살펴보면, 전기·전자 산업의 기술무역 규모가 143억7500만 달러(37.2%)로 전년도 1위였던 정보·통신 산업(124억9100만 달러, 32.4%)을 넘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기계 산업은 기술무역규모가 23.4% 증가했다. 건설 산업은 규모는 작은데 기술무역수지비가 4.56으로 가장 높았다.

전기·전자 산업의 경우 기술수출이 52억8300만 달러(29.9%)로 전년 대비 28.9% 증가해 기술수출 증가액의 약 절반(48.8%)을 차지했다. 기술도입은 90억9000만 달러로 10.1%가 증가했다. 전기·전자 분야의 경우 대기업이 기술수출과 도입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정보·통신 산업은 흑자 규모가 가장 큰 산업으로 기술수출이 68억1000만 달러(38.6%)로 전년 대비 3.2% 증가했다. 기술도입은 56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4% 감소해 기술무역수지는 11억32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은 “기술무역 규모의 성장세는 우리나라의 글로벌 기술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국가와 글로벌 협력망 구축, 국가전략기술 등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기술이전과 사업화까지 적극 지원해 R&D 성과 기반의 성장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2023년 기술무역 386억 달러, 역대 최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