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석유화학 지원 정책에 중소·중견기업 소외 지적 나와


"정부 지원 정책 범용제품 M&A 등 대기업 중심"
중소·중견기업 지원책은 소규모 펀드 검토 정도
중견기업, 전력요금 감면 등 실질적인 대책 요구
협회 비회원사는 정책 논의에서 배제되는 상황

[아이뉴스24 이한얼 기자] 불황에 허덕이는 석유화학 업계를 지원하려는 정부 정책이 대기업에만 집중돼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견 석유화학 기업들도 고전하는 것은 마찬가지지만 정책 지원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것이다.

대림산업 석유화학사업부 폴리부텐 공장. [사진=대림산업]

2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해 말 발표한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방안에 이어 이르면 상반기에 후속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업계와 정부 사이에서 조율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화학산업협회는 최근 석유화학 사업재편 컨설팅 용역을 마무리하고 컨설팅 결과 보고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한 상태다.

다만 지난해에 발표된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방안은 물론 상반기에 나올 후속 대책에서도 중견기업의 요청은 상대적으로 적게 반영될 것으로 알려졌다.

중견기업 한 관계자는 "정부가 지속적으로 간담회를 개최하고 있지만 언론에 노출되고 고용 창출 인원이 큰 대기업의 목소리가 클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지난해 발표된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방안 내에 중소·중견 기업에 맞춘 정책은 비중이 적다. 대책에 반영된 것은 '중소·중견기업 대상 R&D 투자 전용 고부가 스페셜티 펀드' 정도다. 하지만 이는 산업기술혁신펀드 내 하위 펀드 신설을 검토하겠다는 것에 불과하다. 그마저도 펀드 규모가 500억원에 불과하다.

정부 대책은 대기업이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있는 범용제품설비 매각과 인수합병(M&A)에 집중돼 있다. 중견 기업들은 고부가가치(스페셜티) 전환에 대한 수요도 있긴 하지만 투자 여력이 대기업에 비해 떨어지는 탓에 그보다 제조업 시설의 전기요금 감면 등 당장 실효성 있는 정책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전경. [사진=산업통상자원부]

한국화학산업협회 회원사로 가입된 중견기업은 그나마 나은 실정이다. 비회원사의 경우 목소리 자체를 낼 수 없는 구조다. 산업부는 협회를 통해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협회의 제안이나 요청을 기반으로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협회 역시 전체 회원사의 의견을 토대로 산업부에 지원 정책을 요청하고 있다.

중견기업 중에서도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큰 한솔케미칼, 유니드, 동성케미컬, TKG휴켐스 등은 협회 회원사가 아니다. 이탓에 산업부에서 주최하는 석화업계 간담회에 비회원사 기업이 참여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중견기업 가운데서도 협회 비회원사는 정책 지원에서 더욱 멀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화학산업협회 관계자는 "최근 사업재편 컨설팅은 회원사를 대상으로만 진행했지만 석유화학 불황은 산업 전체의 문제이기 때문에 기업 규모를 불문하고 개별 기업의 요청을 잘 수렴해 정부에 정책 건의를 하려고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얼 기자(eol@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석유화학 지원 정책에 중소·중견기업 소외 지적 나와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