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재건축 단지라도 사둘까"…투자처 찾는 수요자들


양천구·과천·분당 등지 재건축 추진단지 가격 상승폭 커져
불확실한 시장 전망에 안전자산 몰리지만 정부 눈치보기도

[아이뉴스24 이수현 기자] 정부가 전방위 대출 규제를 내세우면서 투자처를 찾는 수요자의 발걸음도 바빠지고 있다. 정부 정책이 시행된 후 서울 양천구와 경기도 과천, 성남 분당 등 재건축 단지들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폭이 커지는 모양새다. 다만 재건축 단지 이주비가 제한된 데다 정부가 추가 규제를 예고한 만큼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출규제가 강화된 후 안전한 투자처를 찾는 수요자들이 재건축 추진단지에 주목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7단지 전경. 2024.10.08 [사진=아이뉴스24 DB]
대출규제가 강화된 후 안전한 투자처를 찾는 수요자들이 재건축 추진단지에 주목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7단지 전경. 2024.10.08 [사진=아이뉴스24 DB]

5일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6월 다섯째 주(30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는 전주 대비 0.60% 상승했다. 6월 2주 0.31%였던 양천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6월 3주 0.38%, 4주, 0.47%에 이어 3주 연속 상승폭을 키웠다.

양천구는 목동이 가격 상승을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업무지역과 가깝고 학원가가 밀집한 목동에서 재건축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기대감이 확산한 영향이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일 목동신시가지 7단지 전용 101㎡는 33억원에 거래돼 6월 거래된 신고가 30억5000만원을 넘어섰다. 목동은 토지거래허가구역에 묶여 있어 해당 거래 또한 정부 대출규제 전에 체결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를 감안하더라도 목동 단지를 향한 매수세는 여전하다.

서울 인근 수도권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경기 성남 분당구는 1.17% 상승했고 과천은 0.98% 상승했다. 두 지역 모두 노후 단지가 많아 재건축을 기대하는 투자 수요가 몰리는 곳이다. 규제가 발표된 후에도 상승폭이 꺾이지 않고 있다.

정부가 수도권 무주택·1주택자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등 대책을 내놨지만 재건축 단지들의 상승폭은 오히려 더 커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성남 분당은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노후계획도시특별법)에 따라 지난해부터 정비사업이 힘을 내면서 매수세가 붙은 것으로 보인다.

아직 조합원 이주까지 시간이 남은 사업 초창기인 점도 매수세가 몰린 원인으로 꼽힌다. 이번 정부 대책에 따라 재건축·재개발 조합원들도 무주택이거나 1주택이면 소유 주택을 담보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기본 이주비가 6억원으로 제한된다. 성남 분당의 경우 지난해 11월 선도지구를 선정하며 출발점에 섰을 정도로 사업이 초기 단계다.

정부는 주택 공급을 늘리기 위해 재건축과 재개발 등 정비사업 활성화에 나설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 또한 대선 공약으로 정비사업 규제 완화로 주택 공급을 주장하기도 했고 4기 신도시 등 신규 택지를 개발하기보다 1기 신도시 재정비 사업 속도를 높이는 등 개발이 끝났거나 진행중인 택지를 중심으로 주택 공급에 나서겠다고 언급한 바 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시장에 위험 요소가 많아질수록 안전한 자산으로 움직이는 수요가 많아진다"면서 "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이자 '똘똘한 한 채'로 보유할 만한 단지로 재건축 단지를 선택한 수요자가 늘어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대출규제가 강화된 후 안전한 투자처를 찾는 수요자들이 재건축 추진단지에 주목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7단지 전경. 2024.10.08 [사진=아이뉴스24 DB]
분당 선도지구 시범1구역 양지마을 전경. 2024.09.26 [사진=아이뉴스24DB]

다만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은 이들 지역에 부담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달부터 현장점검 대상을 서울 전 지역과 과천, 분당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자금조달계획서 내용 사실 여부, 대출규정 위반 여부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이에 더해 이재명 대통령도 부동산 추가 규제를 언급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3일 기자회견에서 "부동산과 관련된 정책은 많다. 공급 확대책, 수요 억제책이 아직도 엄청나게 많이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해당 규제에 재건축 단지들도 일부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전문가들 또한 이주비 제한 영향이 덜하더라도 매수 심리가 일부 꺾일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재건축을 염두에 두고 투자하더라도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방향 등 시장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 업계 전문가는 "이재명 정부가 주택 공급에 나서더라도 대출 규제로 기본 이주비가 제한된 상태에서 정비사업이 속도를 내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번 대책이 장기화할 때) 용산과 강남권 등 사업성이 우수한 입지는 건설사의 신용공여 등을 통해 피해를 줄일 수 있겠지만 그렇지 못한 현장에서는 정비사업 활성화가 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수현 기자(jwdo95@inews24.com)




주요뉴스



alert

댓글 쓰기 제목 "재건축 단지라도 사둘까"…투자처 찾는 수요자들

댓글-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

로딩중

뉴스톡톡 인기 댓글을 확인해보세요.



포토뉴스